|
27일 의료계에 따르면 홍윤철 서울대병원 공공진료센터 교수 연구팀은 2016~2020년 서울 시내 초미세먼지 농도와 25세 이상 성인의 사망 자료를 종합 분석한 '대기오염 건강영향평가'에서 초미세먼지와 심근경색 등 허혈성 심장질환 사이의 연관성을 확인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BMC 공중보건에 지난달 게재됐다.
연구 기간 동안 서울의 초미세먼지 연평균 농도는 23.5㎍/㎥로, 환경부 대기질 기준치(15㎍/㎥)를 크게 웃돌았다. 같은 기간 25세 이상 허혈성 심장질환 사망자는 총 1만971명이었으며, 이 가운데 약 2861명이 초미세먼지 노출로 인한 초과 사망으로 추정됐다.
연령대가 높을수록 위험은 더욱 커졌다. 인구 10만명당 초과 사망률은 △25세 이상 38.6명 △45세 이상 56.2명 △65세 이상 139.8명으로 고령층이 대기오염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초미세먼지 농도를 대기질 기준치인 15㎍/㎥ 수준으로 낮출 경우, 5년간 25세 이상 허혈성 심장질환 사망자 837명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분석했다.
홍 교수 연구팀은 "대기 중 초미세먼지를 기준치로 낮추면 심근경색 등 허혈성 심장질환 사망 위험을 약 8% 낮출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며 "고령화가 심화되는 상황에서 선제적 대기질 개선 정책은 공중보건에 큰 이익을 가져올 것"이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