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잉 및 묻지 마 투자가 문제
후발주자는 로봇과 AI
|
그러나 2022년 하반기를 전후해 이 거품은 빠른 속도로 꺼지기 시작했다. 자금난에 디폴트(채무 불이행)에 내몰리는 업체들이 속출하기 시작했다. 급기야 업계 1, 2위를 다투던 공룡 헝다(恒大·에버 그란데)가 사실상 파산으로 사라졌다. 창업자인 쉬자인(許家印·67) 전 회장은 서우푸(首負·최고 빚쟁이)가 됐다는 조롱을 들어야 했다. 부동산 산업은 황금알을 낳는 거위에서 졸지에 미운 오리새끼로 변했다.
징지르바오(經濟日報)를 비롯한 매체들의 최근 보도를 종합하면 전기자동차 산업이 바로 이런 딱한 처지가 또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를 낳고 있다. 한마디로 부동산 산업의 전철을 밟게 될 거품 경제 시대의 다음 제물이 될 것이라는 얘기가 아닌가 보인다. 현실을 보면 그럴 수밖에 없을 것 같다.
통계가 모든 것을 말해준다고 할 수 있다.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2019년 전국에 등록된 전기차 제조사는 무려 500여 곳에 달했다. 중국의 경제 규모가 아무리 크더라도 말이 안 되는 상황이라고 해도 좋았다. 돈이 된다는 얘기가 돌자 너도 나도 뛰어들었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결국 2년 전 기준으로 이들 중 80%는 파산했다. 지금도 파산을 위해 절차를 밟는 업체들이 하나둘이 아니다.
생존해 있는 업체들도 상황은 좋지 않다. 업계 선두를 달리는 비야디(比亞迪·BYD)조차 재무구조가 건강하다고 하기 어렵다. 협력업체들에 대한 결제에 문제가 드러나 당국으로부터 경고를 받았다면 더 이상 설명은 사족이라고 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 현재 그럭저럭 명맥을 유지하는 30여개 업체 중 5개 전후만 살아남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것은 다 이유가 있다고 해야 한다.
그렇다면 거품 시대의 다음 제물은 어떤 산업이 될 것인가 하는 의문이 당연히 제기될 수밖에 없다. 현재로서는 가장 핫한 분야인 인공지능(AI) 산업이 아닌가 보인다. 벌써 파산하는 업체들이 속출하는 것이 현실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거품 경제 시대의 저주라고 해야 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