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접근법, 책임감 있고 합리적...이 문제, 국토안보부·상무부 협력"
트럼프, 한국 전문직 취업비자 발급 검토 지시한듯
|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미국 이민 당국이 지난 4일 조지아주 한국 배터리 공장에서 한국인 근로자 330여명을 체포·구금한 사태의 재발 방지 차원에서 미국 행정부가 비자 관련 법규 개정 등을 추진하는지'를 묻는 말에 이같이 답했다.
레빗 대변인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일요일(7일) 성명에서 전 세계의 외국 기업들과, 그들이 미국에서 하는 투자에 대해 매우 감사하게 생각한다고 직접 말했다"며 "그는 이들 기업이 고도로 숙련되고 훈련된 근로자들을 (미국으로) 함께 데려오기를 원한다는 것을 이해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특히 그들이 반도체나 이번 조지아 배터리 사례처럼 매우 특수한 제품을 생산할 때는 더욱 그렇다"고 강조했다.
레빗 대변인은 재차 "그는 이 기업들이 이미 해당 기술을 보유한 그들의 근로자들을 데려올 필요성을 이해하고 있다"며 "따라서 나는 (대통령이) 변경 사항이 무엇일지에 관해 매우 유연한 입장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어 "대통령이 취한 이 접근 방식은 매우 미묘하면서 책임감 있고, 합리적이라 본다"며 "국토안보부와 상무부가 이 문제에 함께 협력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
레빗 대변인의 언급은 출입국 및 이민 정책을 총괄하는 국토안보부와 외국 기업의 투자 유치를 담당하는 상무부가 트럼프 대통령의 지침에 따라 미국 투자 기업 소속 근로자들의 체류 자격 문제를 해결할 대안을 모색 중이라는 의미로 풀이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7일 자신의 소셜미디어(SNS) 트루스소셜에서 이번 사태와 관련, "당신들의 투자를 환영한다"며 "우리는 당신들이 훌륭한 기술적 재능을 지닌 매우 똑똑한 인재를 합법적으로 데려와 세계적 수준의 제품을 생산하길 권장한다. 그리고 우리는 당신이 그렇게 하도록 그것(인재 데려오는 일)을 신속하고, 합법적으로 할 수 있도록 만들겠다"고 밝힌 바 있다.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은 같은 날 취재진의 관련 질문에 "지금 이 나라에 배터리에 대해 아는 인력이 없다면, 우리가 그들을 도와 일부 인력을 (미국에) 불러들여 우리 인력이 배터리 제조든, 컴퓨터 제조든, 선박 건조이든 복잡한 작업을 하도록 훈련시키게 해야 한다"며 "전문가를 불러들여 우리 국민을 훈련시켜서 그들(미국인)이 직접 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는 한국 정부와 재계가 전문 교육·기술을 보유한 한국 국적자에게 연간 최대 1만5000개의 전문직 취업비자를 발급해야 한다고 미국 행정부에 요구하는 걸 검토할 수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해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