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포뱅킹 구축·임상시료 지원 223억 투자
'유전자 가위' 등 신기술 활용 확대 필요
|
13일 관련 부처 등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다음 달부터 2028년까지 '글로벌 K-cell 뱅크·라이브러리 구축' 사업을 진행한다. 정부와 민간이 함께 연구비를 지원하는 사업에는 4년 동안 223억원 가량의 국비가 투입된다.
복지부는 연 평균 50억원 이상 투입되는 국비를 통해 재생의료 세포뱅킹의 구축을 돕는 동시에 국산 치료제의 임상시료 의약품 제작을 지원한다. 구체적으로 사업에서는 임상시료의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GMP) 생산 공정을 구축하고, 임상 준비 및 계획을 승인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복지부는 국내 재생의료 치료제 개발을 촉진하는 한편, 글로벌 시장의 진출 기반도 강화하겠다는 방침이다. 2020년 약 37조5000억원이었던 글로벌 재생의료 시장은 2030년에는 185조원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국내에서 첨단재생의료 치료제도가 본격 시행된 지 6개월을 맞이한 가운데, 정부는 4년간의 투자 계획을 세우며 자체적인 재생의료 치료제의 개발을 촉진하겠다는 계획이다.
앞서 복지부는 지난 2월 21일부터 첨단재생의료 치료 제도를 도입 및 시행하기 위한 법적인 근거를 마련했다. 제도 시행 이전에는 임상연구에 한해서만 재생의료 기술이 활용됐지만, 2월 말부터는 첨단재생바이오 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중대·희귀·난치 질환 치료 등에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이로써 대체 치료제가 없는 희귀·난치 질환자에게 새로운 치료기회를 제공하는 한편, 이후 치료 결과에 대한 분석·평가에 기반한 의약품 허가를 통해 재생의료기술 발전 지원의 토대를 세운 것이다.
올해 재생의료 확대의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국내 치료제 개발 촉진의 기반을 마련한 정부지만,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해결해야 하는 과제 역시 존재하고 있다. 특히 국내를 비롯해 해외에서도 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는 '유전자 가위' 등 신규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한 의료계 관계자는 "현행법상 국내에서는 체외 유전자 교정만 허용하고 있다"며 "국내 연구진들이 세계적인 수준의 연구 역량을 갖춘 만큼, 이를 활용해 재생의료 치료 제도를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이 논의돼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