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꼬박꼬박’ 부었더니…국민연금 월 최고 318만원 수령 나왔다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biz.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128010015086

글자크기

닫기

이정연 기자

승인 : 2025. 11. 28. 09:44

20년 이상 가입, 월평균 112만539원 수령
전체 노령연금 월평균 수령액은 67만9924원
자료=국민연금공단 / 그래픽=박종규 기자
1988년 도입된 국민연금 제도가 성숙기에 접어들면서 매달 300만원 넘게 노령연금을 받는 사례가 확인됐다. 가입 기간이 20년 이상인 '완전 노령연금' 수급자들의 월평균 수령액은 112만539원으로 전체 평균(67만9924원)을 훨씬 웃돌았다.

28일 국민연금공단의 '2025년 7월 기준 국민연금 공표통계'에 따르면 현재 국민연금을 가장 많이 받는 수급자의 월 수령액은 318만5040원이었다.

주목할 점은 가입 기간에 따른 평균 수령액의 차이다. 전체 노령연금 수급자의 월평균 수령액은 67만9924원이었다. 일각에서는 이 금액이 기초생활수급자의 생계급여(1인 가구 기준 최대 77만원 선)보다 낮다며 연금의 실효성을 지적하기도 한다.

국민연금은 가입 기간과 납부 액수에 비례해 수령액이 결정되는 구조다. 가입 기간이 20년 이상인 '완전 노령연금' 수급자들의 월평균 수령액은 112만539원으로 전체 평균을 훨씬 웃돈다. 반면 가입 기간이 10년에서 19년 사이인 경우의 월평균 수령액은 44만2177원에 그쳤다. 결국, 꾸준히 20년 이상 직장생활이나 지역가입을 유지하며 보험료를 납부한 경우 기초적인 생계 보장 수준을 넘어서는 연금을 확보할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수급 금액별 분포를 살펴보면 국민연금의 현주소가 더 명확히 보인다. 월 20만원에서 40만원 미만을 받는 수급자가 약 217만명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하지만 고액 수급자도 꾸준히 늘고 있다. 월 100만원 이상을 받는 수급자는 약 85만명에 달하며, 월 200만원 이상을 받는 수급자도 8만2484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과거에 비해 국민연금이 노후 소득의 주요한 축으로 자리 잡고 있음을 보여주는 지표다.

전체적인 연금 수급자의 규모도 지속해서 확대되고 있다. 2025년 7월말 기준으로 국민연금 수급자(일시금 포함 누계)는 754만4930명을 기록했다. 이 중 매월 연금을 지급받는 연금 수급자는 733만8371명이다.

급여 종류별로 보면 노령연금 수급자가 약 620만명으로 대다수를 차지했고, 유족연금(107만명)과 장애연금(6만8000명)이 뒤를 이었다.

국민연금의 재정 건전성을 가늠할 수 있는 기금 적립금 규모는 1300조원 시대를 열었다. 7월말 기준 기금 운용 금액은 1304조4637억원으로, 전년도 말 대비 약 91조원 이상 증가했다. 특히 올해 들어 7월까지의 기금 운용 수익금만 84조1658억원에 달해 보험료 수입 외에도 운용 수익이 기금 증식에 크게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금의 투자 포트폴리오를 보면 국내 채권(325조원)과 해외 주식(467조원)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해외 주식 투자 규모가 국내 주식(199조원)의 두 배를 넘어섰다.
이정연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