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셈법 복잡 한미회담, 고심 커진 李대통령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biz.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808010003860

글자크기

닫기

홍선미 기자

승인 : 2025. 08. 07. 18:04

이달 말 트럼프와 첫 만남 유력
국방비 증액 대응 전략 구체화 관측
관세협상 세부 사항 조율도 과제로
이르면 주말 주미대사 인선 가능성
/연합
이재명 대통령이 8일 여름휴가를 마치고 복귀하면서 한·미정상회담 협상 전략, 8·15광복절 특별사면 등 굵직한 현안에 대한 결정이 주말 새 빠르게 진척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2일부터 경남 저도에 머문 이 대통령은 휴가 중에도 '이춘석 의원 차명 주식 거래의혹', '포스코이앤씨 인명사고' 등 현안 관련 지시를 내리며 국정 운영 시계를 돌렸다.

이 대통령은 휴가지에서 정성호 법무부 장관의 광복절 특사 명단 보고를 받고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 등에 대한 사면을 최종 확정할 것으로 보인다. 이달 말 열릴 것으로 예상되는 한·미정상회담의 준비를 위해 이 대통령이 휴가 복귀 직후인 주말께 주미대사를 비롯한 4강국(미국·일본·중국·러시아) 주재 대사 인선을 발표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7일 대통령실 등에 따르면 이 대통령은 주말께 조 전 장관 등 광복절 사면·복권 대상자를 확정하고 오는 12일 국무회의에서 이를 최종 심의한다. 조 전 대표가 사면·복권 명단에 포함된 반면, 이화영 전 경기도 평화부지사는 심사 명단에서 제외된 것으로 전해진다.

이 대통령이 휴가지에서 골몰했던 한·미정상회담 협상 카드 구상도 이 대통령의 복귀에 따라 더 구체화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번 회담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한·미동맹 현대화'를 언급하며 한국의 국방비 증액, 우리 군의 역할 확대 등을 요구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에 따라 미국 측 요구를 어느 정도 수용하면서 우리가 얻어낼 수 있는 분야를 최대한 발굴해 협상을 이끌어 내는 것이 이 대통령 앞에 숙제로 놓였다.

이 대통령은 실무 협상 진행 과정을 면밀하게 보고받으며 국익을 극대화하는 한·미 안보동맹을 고심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31일 타결된 이후 쌀 개방 여부 등의 문제로 혼선이 생겼던 한·미 관세협상 세부 사항 조율도 과제다.

한편 이 대통령의 4강 대사 인선이 임박했다는 관측이 나오는 가운데 주미 대사에 임성남 전 외교부 1차관, 조병제 전 국립외교원장 등이 거론된다. 주중 대사에는 이광재 전 강원지사가, 주일 대사에는 이혁 전 주베트남 대사와 하태윤 전 오사카총영사, 김현철 서울대 일본연구소장 등이 하마평에 오르내린다.
홍선미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