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포우성7차 수주전서 ‘계약 지연’ 의혹 발생
삼성 "수주지별 빠른 사업 진행 알리기 위한 것"
대우 "개포우성서 86가지 조항 변경…지연 가능성"
|
6일 삼성물산에 따르면 회사는 이날 서초구 신반포4차 재건축 공사 도급 계약 체결과 관련한 보도자료를 배포했다. 지난달 31일 용산구 한남4구역 재개발 사업의 도급 계약 체결 소식을 알린 데 이은 것이다. 이들 사업지는 삼성물산이 각각 올해 3월 말과 1월 중순 시공사로 선정된 곳이다. 아울러 이날 배포한 자료에는 지난 4월 시공사로 선정된 성북구 장위8구역 공공재개발 본계약을 최근 마무리지었다는 내용도 포함돼 있었다.
일반적으로 건설사들이 재건축·재개발과 관련해서는 시공사 선정이나 수주전 승리를 위한 사업 조건 등을 주로 홍보하며, 도급 계약 체결 소식은 공시로만 처리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관행을 고려하면 삼성물산의 이번 행보는 이례적이다.
이와 관련해 삼성물산 관계자는 "기존에 수주한 사업지들과 원활한 협의를 통해 빠르게 사업 내용을 확정하고 본 계약까지 체결하고 있다는 점을 알리기 위해 이들 자료를 배포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대우건설과 펼치고 있는 개포우성7차 재건축 수주전이 과열되는 데 대응하기 위한 전략이라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앞서 개포우성7차 조합원들 사이에 '삼성물산이 한남4구역에서 공사중단 사유 추가·준공책임 의무 축소·연체료 지급조항 추가 등 27개 조항을 변경한 데 따라 작년 11월 입찰 이후 계약까지 10개월이라는 시간이 소요됐다'는 내용이 담긴 유인물이 돌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한남4구역 조합은 개포우성7차 조합에 삼성물산과 대우건설 간 수주전이 상호 비방과 허위 사실 유포로 번지는 것에 대해 우려를 표하며 관련 조치를 요구하는 공문을 보내기도 했다. 관할인 강남구청 역시 수주전이 격화할 경우 행정지도를 내릴 수 있다는 방침을 내세운 만큼, 추가 갈등 발생 여부가 주목된다.
이와 관련해 대우건설 측은 "삼성물산은 한남4구역에서 조합계약서안을 100% 수용한다고 했지만 실제 계약까지는 수 개월이 걸렸다"며 "개포우성7차에서도 이미 86개 조항을 수정한 만큼, 이로 인한 사업 지연 가능성을 우회적으로 언급한 것일 뿐, 허위 사실을 퍼뜨린 적은 없다"고 했다.
이는 대우건설이 최근 개포우성7차 조합이 제안한 계약서 원안을 100% 수용하며, 초기 계약 협상으로 인한 사업지연 없이 신속하게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주장한 데 대해 힘을 싣기 위한 전략으로 해석된다.
한편 개포우성7차 재건축 사업은 기존 14층짜리 15개동, 802가구 규모 아파트를 지하 5층~지상 35층·1100여가구 아파트로 탈바꿈하는 사업이다. 시공사는 오는 23일 열리는 시공사 선정 총회에서 결정된다. 총 사업비는 6778억원 수준이다. 삼성물산과 대우건설은 각각 단지명으로 '래미안 루미원', '써밋 프라니티'를 제시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