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이터통신은 15일(현지시간) 미국 정부윤리국이 공개한 재정공개 자료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채권 매입 내용이 드러났다고 보도했다. 미국 정부윤리국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8월 말부터 10월 초까지 최소 8200만 달러를 투자했으며 상한 기준 총액은 3억 3700만 달러(약 4908억 원)를 넘어선다.
공개된 자료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지방정부와 공공기관이 발행한 공공채다. 지방채는 이자소득에 대한 연방세가 면제되는 만큼, 고소득층에게 유리한 자산으로 꼽힌다. 눈길을 끄는 것은 트럼프 대통령이 새로 매입한 기업채 가운데 현 행정부의 정책으로 수혜를 입고 있는 업종 채권이 집중돼 있다는 점이다.
반도체 기업 브로드컴·퀄컴, 빅테크 기업 메타, 대형 유통업체 홈디포·CVS헬스, 그리고 월가의 골드만삭스·모건스탠리·JP모건 등 굵직한 금융기업의 채권이 대거 포함됐다.
트럼프 행정부가 '전략산업 육성'을 이유로 직접 지분을 취득한 인텔의 회사채 역시 매입 대상에 포함됐다. 대통령이 직접 정책을 설계하는 동시에 정부가 지분을 보유한 기업의 채권까지 늘린 상황은 공공정책과 사적 투자 사이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다는 지적을 낳는다.
백악관은 이번 채권 매입과 관련한 언론의 질의에 즉각 답변하지 않았다. 그동안 행정부는 "트럼프 대통령과 가족은 포트폴리오 운용에 관여하지 않는다"고 밝혀왔다.
올 8월 제출된 다른 공시 문서에는,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1월 취임 이후 1억달러 이상의 채권을 매입한 사실도 담겨 있다. 또한 6월에 제출된 연례 재산공개보고서는 2024년 한 해 동안 암호화폐, 골프장, 브랜드 라이선스 등 다양한 사업에서 6억달러 이상의 소득을 올린 것으로 기록했다. 전체 자산 규모는 최소 16억달러로 추산된다.
이 같은 자료는 트럼프 대통령이 정책을 집행하는 최고 권력자이자 동시에 대규모 자산가로서의 역할을 겸하는 구조 자체가 투명성 논란을 피할 수 없는 지점임을 보여준다. 특히 반도체·금융·빅테크 등 행정부 정책의 핵심 축과 대통령 개인의 투자 포트폴리오가 겹쳐 있다는 점은 거버넌스 차원의 문제 제기를 불러올 전망이다. 반도체와 금융 규제를 중심으로 한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기조는 관련 업종의 채권 가격과 신용스프레드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