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경륜은 경기 초반부터 전력이 비슷한 선수들이 서로 앞자리를 선점하려는 움직임이 강해지는 양상을 보인다. 추입형 선수들은 앞선 선수들의 체력이 소모된 틈을 노려 좋은 '깜짝' 승리를 거두고 있다.
베테랑 이수원(12기·A1·수성)은 지난 달 10일 부산 3경주에서 초반 치열한 위치 경쟁이 벌어진 틈을 놓치지 않고 막판 추입으로 신동인, 고요한 등 강자들을 따돌리고 1위를 차지했다. 같은 달 24일 광명 6경주에서도 주도권 다툼이 길어지는 흐름을 정확히 포착해 다시 역전 우승에 성공했다.
선발급 김현(20기·B1·경기 개인)은 지난 1일 경륜 개장 31주년 기념 대상 경륜 선발급 준결승전(4경주)에서 정해권, 조용현, 이동근 등을 상대로 후반부 3·4코너부터 과감하게 안쪽을 파고들며 결승선 직전 추입에 성공했다. 우성식(15기·A2·동서울)도 지난 7일 부산 2경주에서 이태호, 김민수의 치열한 주도권 다툼을 활용해 막판 역전에 성공하며 1년 만에 금요 예선 우승을 거뒀다.
이 외에 김명섭, 김도완, 박종태, 이용희, 윤창호, 김태율 등도 위치 경쟁의 틈을 활용한 벼락같은 추입 전술로 연이어 승리를 거두며 주목받고 있다. 앞선 선수들의 체력 소모가 커질수록 이들의 후반 추입이 빛을 발하는 양상이다.
경륜 전문예상지 관계자는 "비슷한 기량의 선행형 선수들이 맞붙어 힘을 소모할 경우 뒤에서 타이밍을 노리던 추입형 선수들이 승부의 향방을 뒤집는 경우가 많다"며 "경주를 예측할 때도 단순히 앞선 선수만 보는 것보다는, 경기 흐름을 읽으며 주도권 다툼의 틈을 노릴 수 있는 추입형 선수에게 주목해야 한다"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