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광양그린에너지 매출 0원에도 웃는 BS한양 “20년 고정가…실적 반등 자신”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biz.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107010004027

글자크기

닫기

이수일 기자

승인 : 2025. 11. 07. 18:44

내년 하반기 광양그린에너지 바이오매스발전소 상업운전
풍력발전부터 수소까지 에너지 사업분야 확장 속도
1
동양이 롯데건설과 체결한 '광양바이오매스 발전소 FGTS(연소가스처리설비) 및 AHS(재처리설비) 건설공사' 조감도. 이번 계약은 롯데건설이 2021년 광양그린에너지와 맺은 '광양 바이오매스 발전소 설계·조달·시공(EPC) 건설공사' 중 FGTS와 AHS 제작 및 납품 설치공사.
BS그룹의 핵심 계열사 BS한양이 한국수력원자력과 출자해 설립한 화력발전업체 광양그린에너지에 측면 지원에 나섰다. 전남 광양에 짓고 있는 바이오매스발전소가 상업운전을 개시할 경우 실적 반등을 기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BS한양이 에너지사업을 집중 육성하고 있는 BS그룹의 의지를 반영한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7일 업계에 따르면 BS한양은 광양그린에너지에 2037년 3월말까지 70억원을 빌려주기로 했다. 광양그린에너지는 2035년 6월말부터 2037년 3월말까지 원금 균등 방식으로 BS한양에 갚기로 했다. 이자율은 선순위장기대출금에 적용되는 이자율(가중평균)+연1%로 설정됐다. BS한양은 신한은행 등 14개 대주단에 1072억원 규모의 광양그린에너지 주식을 담보물로 제공하기도 했다.

현재 광영그린에너지는 광양만경제자유구역 황금일반산업단지 내 약 13만1000㎡(3만9806평) 부지에 광양 바이오매스발전소를 건설 중이다. 올해까지 총 6804억원이 투입해 내년 하반기에 상업운전을 시작할 계획이다. 바이오매스발전소는 온실가스 감축과 친환경 에너지 전환에 도움이 될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해당 발전기 설비형식은 순환유동층(CFBC) 보일러 타입이며 우드펠릿(주연료), 우드칩(보조 연료) 등 순수 목질계연료를 사용해 전력을 생산할 예정이다. CFBC 보일러는 바이오매스를 포함한 다양한 연료를 고효율로 연소해 전력이나 산업용 열원을 생산하는 친환경 발전설비다.

미국 시장조사업체 글로벌인포메이션에 따르면 글로벌 바이오매스 발전 시장규모는 701억 6000만 달러(2024년)에서 1341억 7000만 달러(2033년)로 91.2% 증가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LX인터내셔널이 친환경 바이오매스 발전사업에 진출(2022년)하고, DL이앤씨의 TW바이오매스에너지 열병합발전소 건설공사 수주(2023년), 현대중공업파워시스템의 정읍바이오매스 발전소 보일러 수주(2025년) 등이 있다.

솔라시도
BS한양 등이 전남도 등과 전남 해남군에서 친환경 미래도시로 개발 중인 '솔라시도' 조감도.
이 같은 BS한양의 측면 지원은 BS그룹 전략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그룹이 에너지사업을 키우겠다고 천명한 뒤 BS한양은 건설부문의 리스크 분산과 기업의 안정적 성장을 위해 에너지사업 투자에 집중했다. 특히 에너지분야의 경우 태양광·풍력발전 등 재생에너지와 액화천연가스(LNG)·수소 등 미래에너지까지 사업 포트폴리오 확장에 열을 올리고 있다.

유동성을 지원한 곳은 △광양 바이오매스발전소 건립사업 △여수 묘도 동북아 LNG 허브 터미널 조성 공사 △해남 관광레저도시 솔라시도 등이다. 이 같은 투자에 힘입어 BS한양의 에너지·인프라 매출 비중은 23.5%(2024년 상반기)에서 28.1%(2025년 상반기)로 증가됐다.

이중 광양 바이오매스발전소 건립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광양그린에너지는 어려운 상황이다. 매출이 없고 결손금이 100억원대에 이른다. 이 와중에 유형자산 등 자산 취득에 2003억원(2023년), 1774억원(2024년) 등을 쏟아 부었는데 이는 2024년 총자본(1210억원)을 상회하는 수준이다.

그러나 BS한양은 광양그린에너지를 히든카드로 분류했다. 더 이상 대규모 유동지원이 없는데다 해당 발전소가 생산을 시작할 경우 실적이 반등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신용등급이 우수한 공급업체들과 중도 해지가 안 되는 연료 장기 공급계약도 맺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BS한양 관계자는 "광양그린에너지와 한국수력원자력간 20년 장기 고정가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구매계약이 체결돼 있다. 이에 전력거래소에서 주는 단가가 달라질 수 있겠지만 급격하게 변동될 가능성은 크지 않다"며 "생산량과 판매가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상업운전이 시작되면 대규모 매출이 발생될 것"이라고 말했다.

재무건전성은 KB국민은행 부행장 출신인 강순배 BS그룹 사장에게 맡긴다. 강 사장이 프로젝트파이낸싱(PF) 노하우, 폭넓은 금융 네트워크 등을 갖고 있는 만큼, 그룹은 청정에너지 등 미래성장 동력 사업들을 추진하기 위한 사업기반을 강화할 방침이다.

BS그룹 관계자는 "솔라시도를 비롯해 묘도 LNG 허브 터미널, 여수 에코 에너지 허브 등 태양광과 LNG 분야 에너지 사업을 더욱 안정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수일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