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 실장은 이날 대통령 비서실을 대상으로 열린 첫 국회 운영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내란 당시 전 부처 공무원들이 역할을 한 것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는 김영배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의에 대해 "동의한다"며 "내란 특검이 진행되고 있지만 매우 중요한 핵심 사안으로만 한정됐고 더 많은 범위에서 더 많은 것이 이뤄졌을 가능성을 부인하기 어렵다"고 답했다.
강 실장은 이어 관련 상황에 대한 행정적 절차와 책임을 확인할 필요성을 언급하며 "조만간 관련 별도 조직이 필요하다면 발족하는 것도 검토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부인인 김건희 씨가 민간인 출입 제한의 문화유산을 드나들었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조사를 진행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강 실장은 "김 씨가 국가의 수장고라든지 주요 문화재에 함부로 들어가서 국민의 역린을 건드린 사태에 대해 발본색원하고 내용을 확인해 보고 드리겠다"고 강조했다.
강 실장은 다만 지난 정부가 많은 기록을 삭제한 상태였다고 언급하며 "지난 정부의 문제점에 대해 낱낱이 밝히고 싶은 게 한둘이 아니지만 그 모두를 없애버렸던 지점에 대해 양해 말씀 올린다"고 말했다.
야당의 김현지 대통령실 1부속실장 불출석 공세에 대해서는 "국정감사와 관련되지 않은 사안으로 과도한 의혹"이라고 강하게 반발했다. 김 실장이 '실세'라는 의혹에 대해서는 "전혀 동의하기 어렵다"며 "50명의 비서관 중 1명일뿐인데 과도하게 공격받고 있다"고 말했다.
강 실장은 김 부속실장의 대통령실 특수활동비에 대한 기획재정부 지침 위반, 경기동부연합 교류 의혹, 강선우 전 여성가족부 장관후보자 사퇴 종용 의혹, 김인호 산림청장 인사개입 의혹 등을 제기한 박충권 국민의힘 의원의 질의에 대해서는 "저희가 증인으로 와 있지, 피의자로 와있는 상태는 아니지 않나"라며 "일개 비서관이 참석하지 않은 것에 대해, 또 그것이 합의되지 않은 것에 대해 안타깝다"라는 입장을 밝혔다.
한편 강 실장은 "이재명 정부는 탄핵이라는 비극 속에서 치러진 선거로 인수위도 없이 맨바닥에서부터 출범했다"며 "(이 대통령) 취임 당시 당장의 업무에 필요한 필기도구와 컴퓨터는 물론 직원 1명 없어 인수인계조차 불가능했던 대통령실은 무덤 같았다"며 그동안의 소회를 밝혔다.
강 실장은 이어 "전 정부로부터 물려받은 것은 오로지 민생·경제·사회·외교·안보 등 국가 모든 영역에 걸쳐 겹겹이 쌓인 복합 위기였다"며 "지난 5개월 동안 대통령비서실 전 직원들은 대통령을 보좌하며 무너진 나라의 기초부터 다시 세운다는 마음으로 임했다"고 말했다.








![[2025 국감] 대통령실 등 국정감사](https://img.asiatoday.co.kr/file/2025y/11m/07d/202511070100060810003617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