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톡 채팅창서 바로 이용 가능
질의응답 및 카카오 생태계와 연결
내년 1분기 '카나나 인 카카오톡'도 선봬
|
28일 카카오는 경기도 성남시 카카오 판교 아지트에서 '카카오 프레스 싱크업 데이'를 열고 이날 출시된 'ChatGPT for Kakao'와 내년 1분기 공개될 '카나나 인 카카오톡'을 소개하고 시연했다.
카카오톡 이용자는 채팅탭 상단의 'ChatGPT' 버튼을 눌러 질문하거나, 대화 도중 챗GPT에 직접 물어볼 수 있다. 답변은 채팅방에 곧바로 공유할 수 있으며 여행 계획이나 모임 장소 추천 등 일상적인 대화 속에서도 자연스럽게 AI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오픈AI의 최신 GPT-5 모델이 탑재돼 텍스트 질의응답뿐 아니라 이미지 업로드·생성 등 고급 기능도 지원한다. 유용하 카카오 AI에이전트플랫폼 성과리더는 "카카오톡을 통해 누구나 쉽고 안전하게 AI를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서비스의 차별화 포인트는 카카오 서비스와 직접 연결되는 'Kakao Tools(카카오 툴즈)'다. 챗GPT가 카카오의 여러 서비스를 연동해 행동을 수행하도록 돕는 AI 에이전트 기능으로, 출시 초기에는 카카오맵·예약하기·선물하기·멜론이 제공된다. 예를 들어 "홍대 근처 태국 음식점 알려줘"라고 말하면 카카오맵이 자동으로 실행돼 위치 정보를 보여주고, "5만원대 선물 추천해줘"라고 하면 '선물하기' 서비스가 바로 연결된다. 유용하 리더는 "카카오 툴즈를 통해 챗GPT의 답변이 실제 행동으로 이어지는 완결적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며 "앞으로 금융·모빌리티·엔터테인먼트·공공기관 API까지 연동해 AI 기반 서비스 실행 네트워크를 확대하겠다"고 설명했다.
|
카카오는 챗GPT와 카카오 간 대화 데이터를 분리 관리하며, 사용자는 학습 반영 여부를 직접 설정할 수 있다. 유용하 리더는 "ChatGPT for Kakao를 통해 AI를 단순한 기술이 아닌 '일상의 일부'로 만들겠다"며 "공공기관과 외부 파트너와의 연계를 통해 안전하고 유용한 AI 생태계를 확장하겠다"고 말했다.
다만 카카오 측은 이날 '친구' 탭 피드형 개편 복구와 관련해 4분기 내에 '친구' 탭과 피드형 공간을 분리하겠다는 기존 발표와 달라진 입장이 없다며 말을 아꼈다.
한편 카카오는 오픈AI 협업 외에도 자체 개발한 온디바이스(On-device) AI 모델 '카나나 나노(Kanana Nano)'를 중심으로 독자 생태계를 구축 중이다. '카나나 인 카카오톡'은 이용자의 대화 맥락을 이해하고 필요한 순간 먼저 말을 거는 AI 비서다. 지난 10월부터 베타테스트를 시작했고 내년 1분기 안드로이드 버전으로 서비스를 확대해 정식 출시할 예정이다.
'카나나 나노'는 한국어 이해 성능이 글로벌 모델을 크게 상회했다. 카카오의 이날 발표에 따르면 하루 50회 추론 기준 배터리 소모율은 0.5% 미만, 모델 크기는 약 600MB 수준으로 경량화됐다. 가입 후 설치 유지율도 87%에 달해 사용자 충성도가 높게 나타났다.
카카오는 카나나의 선톡형 AI 기능에 대한 반응을 바탕으로 향후 기능 확장을 추진하고 있다. 내년에는 금융·리마인더·쇼핑·로컬 서비스 등 다양한 에이전트로 확대할 계획이다.
강지훈 카카오 AI디스커버리 성과리더는 "카나나는 사용자의 대화 맥락을 실시간으로 파악해 필요한 순간에 먼저 도움을 주는 '선톡형 AI'로, 기존 챗봇형 AI와는 접근 방식이 다르다"며 "온디바이스 모델을 통해 높은 수준의 개인정보 보호와 빠른 반응 속도를 모두 확보했다"고 밝혔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