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등 국내 기업들 예의주시
|
22일 정부와 산업계에 따르면 한미 양국은 지난 7월 관세 인하(25→15%)와 대미 투자 약속이라는 큰 틀에서 합의를 이뤘지만, 3500억 달러의 투자 방식을 두고 이견을 보여왔다.
김 실장과 김 장관 모두 "협상에 진전을 이뤘다"고 밝힌 만큼 타결 가능성은 한층 더 높아졌다. 어떤 부분에서 양측이 이견을 보이는지는 미지수지만 남은 1~2개 쟁점을 제외하면 나머지 부분에선 대부분 합의를 이뤘다는 게 중론이다.
3500억 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 방식, 한미 간 이익 분배 방식 및 외환시장 안전장치 등이 막판 쟁점으로 다뤄질 가능성이 높다. 이견이 조율된다면 한미 정상회담에서 발표할 합의문에 대한 것이 보인다.
김태황 명지대 국제통상학과 교수는 "급하게 방미했다는 건 후속 협상이 막바지에 다다랐다는 뜻"이라며 "만약 미국 측에서 요청한 방문이라면 우리에게 좀 더 유리한 상황일 가능성이 높다"고 짚었다.
이런 가운데 한미 관세 후속협상에 가장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산업은 단연 자동차 업계다.
현대차그룹의 경우 지난 4월부터 적용된 25% 자동차 관세로 2분기에만 1조5000억원이 넘는 영업손실을 입은 바 있다. 증권가에선 관세가 연말까지 지속될 경우 연간 영업이익이 최대 6조3000억원 줄어들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여기에 일본산 완성차에 대한 관세가 15%로 인하되면서 토요타·렉서스 등 경쟁사의 가격 경쟁력이 강화된 점도 부담이다. 업계는 이번 협상 타결이 '관세 리스크' 완화뿐 아니라 북미 시장 내 점유율 회복의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마스가 프로젝트'로 협상의 레버리지가 됐던 조선 업계도 협상 결과를 주시하고 있다. 3500억 달러의 대미 투자 펀드 중 마스가 프로젝트는 약 1500억 달러를 차지한다.
업계는 이번 협상이 조선산업 전반의 새로운 성장 모멘텀을 여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평가한다. 협상 타결 시 한국 조선사들의 미국 내 선박 수주 및 친환경 선박 기술 협력 확대가 기대된다.
반도체 업계 역시 관세 협상의 직접적인 수혜 대상은 아니다. 하지만 반도체 업계 역시 관세 후속 협상이 타결되면 미국 내 투자 리스크를 줄이고 안정적 공급망을 확보하는 등 그간의 불확실성을 걷어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