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자닌 PD·성장형 사모펀드 육성 강조
M&A 주선·지분구조 단순화도 증권사 몫
|
15일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생산적 금융 확대를 위한 증권업계 역할 및 성장전략' 세미나 발표에서 이 같이 말하며 "우리나라 금투업의 자금력이 과거와 차원이 다르게 커졌다"고 분석했다.
이어 "자금이 흘러가는 방향이 부동산이 아닌 기업으로 흘러가고 있다"며 "이런 거대한 자금을 누가 효율적으로 써서 한국 경제를 살리느냐에 따라 금융사의 경쟁력이 결정된다"고 진단했다.
윤 대표는 생산적 금융에 대해 △혁신 기업 숫자를 늘리는 서포트 △전통 산업을 구조조정하고 새롭게 부활시키는 서포트 등 두 포인트로 압축했다. 이 가운데 자금 조달의 중간 공백을 의미하는 '미싱 미들(Missing middle)'을 업계가 채워야 한다고 설명했다.
윤 대표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미싱 미들을 해소할 메자닌 PD(중간 사모 대출)와 성장형 사모펀드가 선진국에 비해 현저히 부족하다. 메자닌 PD는 전환사채·후순위채 등을 통해 지분 희석을 최소화하면서 자금 조달을 유연케 할 수 있다. 성장형 사모펀드는 확장 단계 기업에 소수 지분을 투자함으로써 경영권 위협 없이 자금을 조달시키는 방식이다.
윤 대표는 "증권사가 먼저 나서 이런 증권의 발행을 주선하고 시장의 투자 수단으로 제공해야 한다"며 "이런 기업들의 인수합병(M&A)을 중간에 주선함으로써 어려운 기업을 좋은 기업에 인수시키는, 그런 역할도 증권사가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그는 "여러 곳에서 복잡하게 투자를 받고 보니 지분 구조가 상당히 복잡한 기업들도 있다"며 "증권사가 이 지분 구조를 단순화시켜 추가 투자를 수월하게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상당히 중요하다"고 역설했다.
윤 대표는 "NH투자증권 등 업계는 이런 투자를 통해 침체돼 가는 산업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는 주인공이 돼야 된다"며 "1금융권이 아닌 2금융권 금투업에서 이 역할을 주도적으로 해야 한다고 굳게 믿는다"고 덧붙였다.
같은 자리에서 서정학 IBK투자증권 대표는 중소·벤처기업의 자본시장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방향성을 발표했다.
서 대표는 △모험자본 투자에 대한 순자본비율(NCR) 적용기준 완화 △전용 펀드 참여 기회 확대 등 대안을 제시하며 "800만개 중소기업과 4만개 벤처에 대한 모험자본 공급은 중소형 증권사가 함께해야만 세밀한 지원이 가능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