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 실장은 이날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가 주최한 간담회에 참석한 자리에서 "연합전력의 역할은 첫번째로 가장 큰 잠재적 위협인 북한의 위협으로부터 대처하는 것"이라며 "정세 변화에 따라 좀 더 유연한 운용을 일정부분 고려할 수 있으나 동맹이 이완되지 않아야 하고 유연성의 결과로 한반도 안보가 악화되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위 실장은 한미 간 동맹 현대화 논의의 진전에 대해서는 "'A부터 Z'까지 논의된 것은 아니다"라면서도 한미 방위비분담특별협정(SMA)에 대한 논의는 추가적으로 이뤄지지 않았다고 밝혔다. 다만 국방비 증액의 방향을 잡고 있다고 말했다.
북한의 핵, 미사일 위협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국내 일각에서 '핵무장', '핵자강론'이 제기되는 것과 관련해서는 "개인적인 견해뿐만 아니라 우리 정부는 (핵무장에 대해) 전혀 다른 입장"이라고 밝혔다.
위 실장은 "우리는 북한에 비핵화를 요구하고 있고 이 문제를 위해서는 국제사회와 함께 해결해야 한다"며 "북한의 핵과 관련한 비대칭 전력 대응은 미국의 확장억제를 활용하면 된다"고 말했다.
이어 미국과 원자력 협정 개정은 추진하고 있는 것은 순수하게 경제와 산업적 측면을 고려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만날 가능성에 대해서는 낮을 것으로 전망했다.
위 실장은 "아직 트럼프 대통령의 참석도 확정은 아니다"라며 "김정은의 참석 가능성은 없다고 봐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미 정상회담에서 진전을 이룬 안보분야 협상이 장기간 지연되고 있는 관세 협상으로 인해 악영향을 미칠지 여부에 대해서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위 실장은 "트럼프 행정부가 우리가 보던 역대 공화당 정부와 다르고 트러프 대통령의 특별한 개성 때문에 가변성이 크다고 본다"면서도 "관세의 나쁜영향이 (안보로) 밀려온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