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광복절 앞두고 우키시마호 명부분석 경과보고회…내년 상반기 완료 예정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biz.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813010006696

글자크기

닫기

이하은 기자

승인 : 2025. 08. 13. 16:56

13일 서울서 유족 대상 보고회
5월 기초분석·목록화작업 완료
12월까지 심층분석…중복기재 제거 작업
내년 상반기까지 교차분석 통해 최종확인
KakaoTalk_20250813_153515714
심규선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의 이사장이 13일 오후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우키시마호 승선자 명부분석 경과보고회'에서 설명을 하고 있다. /이하은 기자
우키시마호 폭발 사건과 관련해 정부가 일본 정부로부터 승선자 제공받은 승선자 명단 분석 작업이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이 경과를 유족 등에 설명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행정안전부는 13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우키시마호 관련 단체 및 유족들을 대상으로 '우키시마호 승선자 명부분석 경과보고회'를 개최했다.

행안부는 외교부가 일본 정부로부터 2024년 9월부터 2025년 3월까지 3차례에 걸쳐 전달받은 우키시마호 승선자 명부 관련 자료 75건을 토대로 승선자 규모 등을 분석 중이다. 이날 보고회는 그동안 진행된 분석과 향후 계획을 공유하고 유족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마련됐다.

행안부는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에 전문가 용역을 의뢰해 지난 5월 기초 분석과 전체 자료 목록화를 완료했다. 분석 결과 1차 자료 19건은 기본 명부, 2차 자료 34건은 이를 여러 기관이 복제·정리한 명부였고, 3차 자료 22건은 공문 표지 등 명부 형태가 아닌 것으로 확인됐다.

또 동일인으로 추정되는 중복자가 다수 발견돼, 명부 75건에 기재된 총 1만8300건(단순 합산)에서 중복·오번역을 제거하는 심층 분석이 6월부터 진행 중이다. 이 작업은 올해 12월까지 마무리되며, 이후 옛 제적부 등을 활용해 귀환·사망 여부를 조사하고 과거 피해 인정 자료와 교차 분석해 명부의 진위와 승선 인원을 확인할 예정이다.

보고회에서는 과거 희생자로 인정됐지만 이번 명부 분석에서 사망자 확인이 되지 않는 경우 처리 방안을 묻는 질문이 나왔다. 장동수 행안부 과거사업무지원단장은 "명부에 없다고 해서 기존의 희생자 인정을 부정할 수는 없다"며 "명부가 완벽하지 않은 이상, 다른 근거로 확인된 사실은 그대로 인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과거 자료 부족으로 희생자로 인정받지 못했으나 이번 분석에서 사망자로 확인된 경우 보상 가능 여부에 대한 질문도 나왔다. 장 단장은 "새로운 증거로 희생자가 확인되면 보상하는 것이 마땅하다"며 "다만 정부의 희생자 지원 업무가 2014년 종료된 만큼, 구제·보상 방안은 현재 행안부가 검토 중"이라고 설명했다.

행안부는 향후 분석 결과 확인된 강제동원 피해자에 대한 위로금 등 지원 방안을 마련하고, 승선 여부 확인을 요청한 유족에게는 관련 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다.

심규선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 이사장은 "아직은 유족이 승선 여부를 확인하려 해도 응답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분석이 끝나면 근거 자료가 마련되고, 최종 결과를 유족에게 종합적으로 설명하는 설명회를 열겠다"고 말했다.
이하은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