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 부진 가장 큰 이유는 원유 가격 하락
경기 둔화 우려 키운 트럼프 관세정책도 한몫
|
EIA는 이날 미국의 원유 생산량이 2025년 12월에 하루 1357만 배럴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이전에 예상했던 2026년 4월보다 앞당겨진 것으로, 세계적인 원유 증산 흐름의 영향으로 감소 전환 시점이 빨라졌다는 분석이다.
이에 대해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원유 생산 확대를 통해 지지 기반인 석유·가스 업계에 힘을 실어주고, 휘발유 가격 인하로 유권자들의 지지를 얻으려 했지만, 가격 하락과 생산 감소라는 딜레마에 직면하고 있다고 짚었다.
생산 부진의 가장 큰 원인은 원유 가격 하락이다. 트럼프 행정부의 고관세 정책으로 경기 침체 우려가 확산한 데다, 최근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러시아 등 기타 산유국 협의체인 OPEC 플러스가 감산을 종료하고 증산으로 돌아선 것이 영향을 미쳤다.
EIA는 2025년 가을쯤 서부텍사스산원유(WTI) 선물 가격이 배럴당 60달러 밑으로 떨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올해 3월 미 댈러스 연방준비은행 조사에서는 원유 신규 개발이 채산성을 맞추려면 배럴당 65달러 선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나와, 가격 하락은 신규 개발 위축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대선 때부터 "파고, 또 파라"는 구호를 내세워 원유 생산 확대를 강조해 왔다. 생산 확대는 그의 핵심 지지층인 석유·가스 업계의 환영을 받고, 에너지 수출 확대에도 도움이 된다.
미 행정부는 장기적인 생산 증대를 위해 지원책을 내놓고 있다. 지난 7월 발효된 '감세·지출법'(OBBB법)에는 연방 소유지의 임대를 촉진하는 조치가 담겼다. 육상 연방 광구 사용료를 바이든 행정부 시절 16.67%에서 12.5%로 낮추도록 한 것이다. 미 내무부는 이를 통해 2026년에 신규 리스 계약 225건이 체결되고, 수년간 매년 평균 160개 유정의 시추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한다.
미 의회예산국(CBO)은 2025~2034년 석유·가스 리스 총액이 약 1620억 달러(약 24조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더그 버검 내무장관은 "바이든 행정부가 제한했던 국내 에너지 생산을 되살려 에너지 자립을 회복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트럼프 행정부는 인도 등 러시아산 원유 수입국에 고관세를 부과하겠다며, 미국산 원유 수출 확대 의지를 내비쳤다. 미국은 셰일 혁명 이후 생산 증가를 기반으로 수출을 늘렸다. 영국 에너지연구소에 따르면 2024년 미국의 원유 수출량은 하루 987만 배럴로 세계 1위였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증산 지원 효과가 뚜렷하지 않다. 개발 여부는 결국 민간사업자의 판단에 달려 있기 때문이다. 댈러스 연방준비은행의 6월 조사에서 올해 초보다 시추 계획이 "늘었다"는 응답은 19%에 불과했고, "줄었다"는 응답이 47%였다.
또한 철강 등 원자재 수입관세 인상으로 신규 유정 시추 비용이 늘었다는 기업이 70%를 웃돌았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단기적으로는 오히려 자국 석유·가스 산업에 부담이 되고 있다고 닛케이는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