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미얀마 군정, 트럼프 행정부 상대로 로비 착수…무역·자원 협력 모색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biz.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811010005278

글자크기

닫기

김도연 기자

승인 : 2025. 08. 11. 17:08

'희토류 생산국' 지렛대로 활용…美와 관계 개선 추진
USA-MYANMAR/SANCTIONS
미얀마 군정 수장인 민 아웅 흘라잉 최고사령관/로이터 연합뉴스
미얀마 군사정권이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를 상대로 로비 활동에 본격적으로 나섰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11일 보도했다.

닛케이에 따르면 미얀마 군정은 미국 워싱턴 DC에 본사를 둔 로비 업체와 계약을 체결하며 미국과 무역·자원·원조 분야에서의 관계 개선을 추진하고 있다. 이는 지난 7월 미국 정부가 미얀마 제재를 일부 완화하는 등 정책 전환의 조짐을 보인 데 따른 움직임이다.

미얀마 정보부는 지난 7월 31일 미국 수도 워싱턴DC 소재 로비업체 DCI그룹과 연간 300만 달러(약 41억7000만 원) 규모의 계약을 맺었다. 공화당과 가까운 것으로 알려진 DCI는 미얀마 관련 정보 제공과 이미지 전략 수립을 담당할 전망이다.

DCI는 닛케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핵심 광물 자원에 대한 접근권을 확보하기 위해 세계 무역의 균형을 재검토하고 있다"며 "미얀마와의 협력 관계 구축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미얀마는 전기차 수요 증가로 주목받는 희토류 생산국이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에 따르면 2024년 기준 미얀마의 희토류 채굴량은 전 세계의 8%를 차지해 중국, 미국에 이어 3위를 기록했다.

미국 정부는 2021년 쿠데타로 집권한 미얀마 군부와 관련된 기업·거래에 대해 광범위한 제재를 유지하고 있다. DCI는 이번 로비 활동과 관련해 "제재 대상 개인·단체와의 연계를 금지한 법률을 포함해 모든 관련 미국 법규를 준수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쿠데타 이후 냉각됐던 양국 관계는 지난 7월 초,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문제를 언급한 서한을 미얀마 군정 최고 지도자인 민 아웅 흘라잉 군 총사령관에게 보내면서 변화를 맞았다. 이 과정에서 군정을 사실상 승인한 듯한 이례적인 서한 교환이 이뤄졌다. 이어 같은 달 말에는 미 재무부가 군정과 가까운 것으로 알려진 미얀마 기업 3곳과 개인 4명에 대한 제재를 해제했다.

군정은 지난 7월 말, 쿠데타 직후 발령해 수차례 연장했던 비상사태를 해제하고 오는 12월 총선 계획을 발표했다. 중국, 러시아, 인도 등 우호국 기업들은 이미 총선 이후를 내다본 사업 준비에 나서고 있다.

닛케이는 "희토류와 인프라 사업은 중국과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고, 중국은 오래전부터 미국의 미얀마 개입을 경계해 왔다"며 "미국과 미얀마의 관계 개선 움직임은 중국의 견제 등으로 우여곡절을 겪을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김도연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