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르포] 롯데홈쇼핑, 시장 침체 속 돌파구 모색…한남동 ‘에이글’ 팝업으로 오프라인 접점 확대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biz.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119010009814

글자크기

닫기

이태경 인턴 기자 | 정문경 기자

승인 : 2025. 11. 19. 10:14

clip20251119100630
서울 한남동 에이글 팝업 입구./이태경 인턴 기자
지난 18일 오후 13시, 서울 한남동 패션 거리의 거대한 붉은색 레인부츠 조형물이 지나가는 이들의 시선을 단번에 사로잡았다. 길을 가던 외국인들은 삼삼오오 모여 레인부츠 앞에서 각자만의 포즈를 취하며 인증 사진을 찍느라 여념이 없었다.

프랑스 정통 아웃도어 브랜드 '에이글'의 172년 역사를 상징하는 이 조형물은 최근 TV 홈쇼핑 채널의 침체 속에서 롯데홈쇼핑이 내놓은 오프라인 생존 전략의 상징과도 같다.

홈쇼핑 업계는 최근 몇 년간 시청률과 핵심 지표인 거래 규모가 동반 하락하며 새로운 성장 동력 모색에 난항을 겪고 있다. 특히 TV 홈쇼핑 채널 의존도가 높았던 기존 구조는 온라인 플랫폼과 라이브커머스의 확산으로 경쟁력이 약화된 상태다.

롯데홈쇼핑은 지난해 에이글 독점 판권을 확보한 이후 홈쇼핑 중심의 단일 유통 구조에서 벗어나 사업 포트폴리오 다각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특히 이번 한남동 팝업스토어는 이러한 전략적 확장의 거점으로 평가된다. 롯데홈쇼핑은 한남동 등 패션 수요가 높은 권역에 팝업스토어와 편집숍을 배치해 홈쇼핑 중심의 유통 구조를 넘어 소비자 접점을 다각화한다는 구상이다.

clip20251119100912
에이글 팝업 1층./이태경 인턴 기자
방문한 한남동 에이글 팝업은 2개의 층으로 구성돼 있었다. 매장에 입장하자 산악 지형을 형상화한 조형물과 프렌치 감성이 어우러진 공간 디자인이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온다. 모형 돌과 이끼 위에 아웃도어 상품들을 자연스럽게 어우러지도록 전시해 놓았다.

매장에 전시된 제품군은 겨울 시즌 아이템을 중심으로 꾸려졌다. '고어텍스 헤비 다운 재킷', '폴라텍 풀 집업' 등 기능성 제품들과 에이글의 대표 아이템인 '러버 부츠'가 메인 라인업으로 자리 잡았다.

롯데홈쇼핑 관계자는 "이번 에이글 컬렉션은 기능성 의류를 기반으로 하되 캐주얼하게 일상에서도 입을 수 있는 제품들을 중심으로 구성했다"며 "플리스 소재와 고어택스 소재 제품들이 주력 제품"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전시 제품들 대다수는 아웃도어 기능성을 갖추면서도 도시적 감각을 살린 디자인으로 구성돼 실용성과 스타일을 동시에 확보하고 있었다.

clip20251119101136
에이글 팝업 1층에서 고객들이 제품을 둘러보고 있다./이태경 인턴 기자
주요 인기 상품으로는 러버 부츠를 지목했다. 특히 '상테부트 스트라이프 러버부츠'는 제품 상단에 적용된 에이글의 시그니처 스트라이프를 통해 브랜드의 전통성과 정체성을 강조하면서도 생동감 있는 컬러로 재해석해 소비자 반응이 높다고 밝혔다.

매장 관계자는 "러버 부츠는 약 20여 종으로 구성돼 있으며 특히 2030 세대의 선호도가 높다"며 "아동용 라인업 역시 반응이 좋아 구매 비중이 꾸준히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

에이글 매니아층을 위한 라인업도 마련돼 있었다. '에이글 익스피리언스 라인'은 브랜드 고유의 헤리티지를 현대적으로 해석한 프리미엄 제품군으로 전문 소비자층의 취향을 겨냥했다. 롯데홈쇼핑 관계자는 "에이글 익스피리언스 라인은 가격대가 다소 높지만 브랜드 충성도가 높은 매니아층의 꾸준한 수요로 판매가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매장 한쪽에는 서울 성북구에 위치한 '포틀리에'와의 협업으로 구성된 휴식 공간이 마련됐다. 이 공간은 커피와 디저트를 즐기며 에이글의 감성적인 무드를 경험할 수 있도록 구성됐다. 방문객들이 제품뿐 아니라 브랜드가 지향하는 라이프스타일까지 체험할 수 있는 점이 특징이다.

clip20251119100944
에이글 팝업 1층에서 음료와 베이커리류를 판매하고 있다/이태경 인턴 기자
2층에 올라가자, 글로벌 패션 온라인 편집숍 '아프트'가 큐레이션 한 인기 브랜드들이 한곳에 모여 있었다.

프랑스 레인웨어 브랜드 '플로트'와 핸드메이드 슈즈 브랜드 '보사보'를 비롯해 시계 브랜드 '랩스', 비건 패션 브랜드 '아파리' 등 총 8개 브랜드의 의류·잡화가 배치돼 있었다.

여기에 프랑스 패션디자이너 '잔느 다마스'의 브랜드 '후즈'와 협업한 모자·가방 등 콜라보레이션 제품 4종이 더해지며 공간 전체가 글로벌 패션 트렌드를 집약한 전시 형태로 구성돼 있었다. 고객들로 하여금 오프라인에서 차별화된 상품 경험을 제공해 브랜드 접점을 넓히려는 전략이 반영된 셈이다.

이러한 오프라인 중심 전략은 실제로 가시적인 성과로 이어지고 있다. 지난달 27일부터 오픈한 한남동 팝업스토어에는 하루 평균 약 150명의 외국인 방문객이 몰리며 글로벌 관광객 유입에 따른 매출 상승 효과가 점차 뚜렷해지는 모습이다. 특히 브랜드 경험을 중시하는 고객층이 확대되면서 오프라인 팝업의 실효성이 입증되고 있다는 평가다.

clip20251119101013
에이글 팝업 2층./이태경 인턴 기자
온라인 사업 성과도 고무적이다. 롯데홈쇼핑이 신사업의 일환으로 들여온 에이글과 아프트의 지난 10월 온라인 매출은 전년 동월 대비 20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순히 브랜드 라인업 확장에 그치지 않고 홈쇼핑·온라인·오프라인을 아우르는 전략이 매출 상승으로 이어진 것이다.

또 롯데홈쇼핑에 따르면 올해 1~10월 기준 수입 브랜드 판권 사업 매출은 전년 대비 3배 이상 증가했다. 특히 독점 판권을 기반으로 한 안정적인 공급 구조와 트렌드를 반영한 큐레이션 전략이 맞물리며 성장 속도를 높이고 있다.

업계에서는 TV 홈쇼핑 중심의 사업 구조가 한계에 다다른 상황에서 롯데홈쇼핑의 이 같은 실험이 새로운 성장 축을 발굴하는 실질적 전환점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단순히 홈쇼핑 채널 매출을 보완하는 수준을 넘어 브랜드 경험을 강화한 오프라인 공간과 글로벌 온라인 편집숍을 연계한 전략이 소비자 유입 경로를 넓히고 구매 전환율을 높이는 데 효과적이라는 평가다.

앞으로도 롯데홈쇼핑은 향후 플래그십 매장 등 오프라인 접점을 지속 확대할 계획이다. 특히 국내 시장에서 판매된 적이 없는 인기 글로벌 상품들을 추가 발굴해 사업권 확보를 추진할 예정이다.

롯데홈쇼핑 관계자는 "단순 홈쇼핑 채널을 넘어 글로벌 유통 플랫폼으로서의 경쟁력을 높이며 국내외 시장을 잇는 핵심 채널 역할을 지속 확대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태경 인턴 기자
정문경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