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하반기 풍력입찰…해상풍력·공공트랙 없이 육상풍력만 간다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biz.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105010002375

글자크기

닫기

장예림 기자

승인 : 2025. 11. 05. 14:52

이달 중순 하반기 풍력입찰 공고 예정
육상풍력만 시행…해상풍력·공공주도형 '재검토'
안보·주민수용성 등 영향에 '빨간불'
국가 재생에너지 목표 차질 불가피
업계 "정부 풍력발전 로드맵 지켜봐야"
clip20251105115151
한국남동발전 탐라해상풍력 전경./한국남동발전
이달 중 진행될 예정인 풍력 고정가격계약 경쟁입찰에서 해상풍력과 공공주도형 입찰이 제외됐다. 이에 따라 이르면 다음주 진행될 입찰은 육상풍력 입찰만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5일 업계에 따르면 기후에너지환경부와 한국에너지공단은 '2025년 하반기 풍력 고정가격계약 경쟁입찰 종합설명회'를 6일 개최한다. 정부는 이 자리에서 올 하반기 풍력입찰에서 '육상풍력' 입찰시장만 공개한다. 에너지공단 관계자는 "현재 전반적인 해상풍력 사업이 군 작전성 이슈로 인허가가 늦어지고 있다. 부처 간 협의를 진행 중으로, 시행 시기가 불투명한 상황이라 육상풍력 입찰만 추진하게 됐다"며 "육상풍력 입찰공고는 11월 중순으로 예상 중"이라고 밝혔다.

이번 해상풍력 입찰 제외 배경엔 정부가 해상풍력 산업을 재정비하는 수순에 들어간 것이란 해석이 나온다. 익명을 요구한 업계 관계자는 "사실 해상풍력 시장이 군 작전성과 주민수용성 문제 등으로 상당히 발목을 잡으면서 좋지 않은 상황"이라며 "이 때문에 해상풍력에 대한 전반적인 재정비 및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우선 육상풍력으로 숨통을 트여주는 방향"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2024년 낙찰된 '안마해상풍력'은 현재 국방부와의 협의 때문에 아직 착공을 하지 못했다. 안마해상풍력은 전남 영광군 안마도 인근 해상에서 추진되는 532메가와트(㎿) 규모 해상풍력 사업으로, 올해 9월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매매계약도 마무리했다. 그러나 국방부와 국방 안보 이슈로 사업 진행이 사실상 멈춰있는 상황이다.

또한 주민수용성과 수익성 문제도 난제로 꼽힌다. 낙월 해상풍력과 안마 해상풍력의 경우 최근 어업인들이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인허가 철회를 촉구하는 대규모 집회를 여는 등 반대의견을 내고 있다. 총 사업비 3조1000억원 규모 신안우이 해상풍력 사업은 한국남동발전 등이 뛰어들었지만, 수익성 등 문제로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조사(예타) 문턱을 넘지 못하기도 했다.

정부가 해상풍력 산업의 전면 재검토에 들어가면서 재생에너지 보급 목표에 빨간불이 켜졌다. 정부는 2030년까지 100기가와트(GW), 2038년까지 121.9GW 보급목표를 잡았다. 그러나 현재 풍력 설비용량은 3.6GW 수준에 불과하다.

특히 업계에선 사업의 불확실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앞서 업계에선 하반기 풍력입찰 시행시기가 늦어지면서 혼란이 가중됐다. 일각에선 공공주도형 입찰이 제외될 것이란 추측도 제기됐다. 해상풍력 입찰시장도 물 건너가면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는 모양새다. 업계 관계자는 "해상풍력 입찰을 준비해오던 사업자들 입장에선 날벼락 같은 소식"이라며 "정부에서 풍력발전 로드맵이 나온다고 하니까 지켜봐야 할 것 같다. 정부에서 충분한 규모의 입찰 용량을 유지할 수 있게 해줬음 좋겠다"고 전했다.
장예림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