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미국, 한국 핵추진 잠수함 건조 승인 / 그래픽= 박종규 기자 |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을 통해 "한미 군사동맹은 어느 때보다 강력하다"며 "그것에 기반해 한국이 구식 디젤 잠수함 대신 핵추진 잠수함을 건조하도록 승인했다"고 적었다.
그는 "한국의 핵추진 잠수함은 미국 필라델피아 조선소(필리조선소)에서 건조될 것"이라며 "미국 조선업이 곧 대대적인 부활을 맞이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화그룹이 지난해 12월 인수한 필라델피아 조선소는 한미 조선협력의 상징적 거점이다. 지난 8월 한화는 양국 협력 프로젝트 'MASGA(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의 하나로 50억 달러(약 7조 원)를 추가 투자한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중국 상무부는 최근 필리조선소를 포함한 한화오션 미국 자회사 5곳을 거래 제한 목록에 올리며 견제에 나섰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발언은 중국의 제재를 정면 돌파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주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번 '승인'은 전날 한미정상회담에서 이재명 대통령이 "핵추진 잠수함 연료 공급을 허용해 달라"고 요청한 지 하루 만에 나왔다. 이 대통령은 회담에서 "디젤 잠수함은 잠항 시간이 짧아 북한과 중국 잠수함을 추적하는 데 한계가 있다"며 "미국이 연료 공급을 허용하면 한국 기술 재래식 무기를 탑재한 잠수함을 여러 척 건조, 한반도 해역의 방어 활동을 하면 미군의 부담도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에 공감하며 후속 협의를 진행하기로 했다고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이 전날 밝혔다.
한국 정부가 핵추진 잠수함 도입 의지를 공식적으로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핵무기를 탑재하지 않는 원자력 추진 잠수함(SSN)을 개발하려면 소형 원자로와 저농축 우라늄 연료 확보가 필수적인데, 이를 위해서는 미국측 동의가 필수다.
미국은 바이든 행정부 시절 영국·호주와 함께 안보협의체 오커스(AUKUS)를 통해 호주에 핵추진 잠수함 공급을 추진하고 있다. 당시 한국은 협력 대상에서 제외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무역협상과 관련해서도 "한국은 미국의 관세 인하 혜택을 받는 대가로 3500억 달러(약 500조 원)를 지불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이어 "한국은 미국산 석유와 가스를 대량 구매하고, 한국의 부유한 기업들과 사업가들이 6000억 달러 이상을 미국에 투자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통령실은 전날 3500억 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 중 2000억 달러는 현금으로 직접 투자하되, 연간 투자 한도를 200억 달러로 제한키로 했다고 발표했다. 나머지 1500억 달러는 조선업 협력 프로젝트에 포함된다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