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러시아, 민간인 대상으로 드론 조준 공격…유엔 “전쟁범죄”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biz.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028010011196

글자크기

닫기

이정은 기자

승인 : 2025. 10. 28. 10:54

특정 지역에서 민간인 몰아내기 위한 "드론 사파리"
UKRAINE-CRISIS/KHERSON <YONHAP NO-6525> (REUTERS)
우크라이나 헤르손에서 한 주민이 드론 방어망이 설치된 거리를 건너고 있다./로이터 연합
유엔(UN) 인권위원회는 러시아 드론 조종사들이 우크라이나 남부 헤르손에서 민간인을 표적으로 삼은 수백 건의 사례를 기록하고, 이를 반인도적 범죄이자 전쟁 범죄에 해당한다고 결론지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2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우크라이나 독립 국제조사위원회가 27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러시아는 1년 이상 헤르손에 드론을 띄워 뒷마당 텃밭에서 일하는 민간인들에게 수류탄을 투하했다. 우크라이나 독립 국제조사위원회는 유엔 인권이사회의 결정에 따라 우크라이나에서 벌어진 인권 및 국제 인도법위반·침해 혐의를 조사하고 문서를 수집하는 임무를 맡고 있다.

구급차와 소방대도 예외가 아니었는데, 러시아군은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 현장에서 일하는 소방관에게 드론으로 수류탄을 투하하기도 했다.

러시아는 이러한 민간인 표적 공격을 부인하고 있다.

이 보고서는 개별적이고 무작위적인 잔혹 행위로 보일 수 있는 이러한 공격들이 실제로는 '영구적인 공포 분위기'를 조성하고 결과적으로 주민들을 헤르손에서 쫓아내려는 의도적 공격이었다고 분석했다.

위원회는 이러한 공격들이 해당 지역에 민간인을 몰아내기 위해 전략적으로 행해진 것으로, 이는 강제 이주라는 '반인도적 범죄'에 해당한다고 결론지었다. 우크라이나인들은 이러한 민간 사냥을 "드론 사파리"라고 부른다.

지난 1년 동안 러시아 드론 공격으로 200명 이상의 민간인이 살해됐으며 2000명 이상이 부상당한 것으로 추정된다. 조사관들은 피해자와 최초 대응자 226명을 인터뷰하고 500개 이상의 영상을 검토했다.

러시아는 민간인 공격을 위해 사거리가 약 10㎞인 소형 최전선 드론을 사용했다. 일부 드론은 수류탄을 투하했으며 표적에 충돌해 폭파하는 드론도 있었다.

헤르손시는 드론으로부터 시민들을 보호하기 위해 거리에 그물을 설치했다.

조사관들은 러시아 드론 부대가 광범위한 지역에서 유사한 전술을 사용했으며, 이는 이러한 일련의 공격이 개별 행위가 아닌 '통합된 상부의 지시에 따라 이루어졌다'는 것을 증명한다고 밝혔다.

러시아군은 민간인이 살해되는 드론 시점의 영상을 종종 공개하며, 이를 부대나 러시아군 관련 단체들이 온라인에 게시해 위협을 증폭시키는 수단으로 삼는 것으로 보인다고 NYT는 전했다.

이러한 전술은 상당한 효과를 거두고 있으며, 헤르손과 다른 강변 마을 주민들을 불안하게 만들어 결국에는 그 지역을 떠나게 하고 있다.
이정은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