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소비 회복·수출 호조에 3분기 GDP 1.2% ↑…6분기 만에 1%대 성장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biz.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028010011114

글자크기

닫기

한상욱 기자

승인 : 2025. 10. 28. 10:05

반도체·車 수출 호조-소비쿠폰 효과 ‘쌍끌이’
"4분기 -0.1% 넘기면 연 1%대 성장 가능"
자료=한국은행/ 그래픽=박종규 기자
올해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직전 분기보다 1.2% 성장한 것으로 집계됐다. 반도체와 자동차 중심의 수출 호조세에 더해 소비쿠폰 시행 효과로 민간소비가 크게 늘면서 한국은행의 기존 전망치(1.1%)를 웃돌았다.

한국은행은 28일 3분기 실질 GDP 성장률(전분기 대비·속보치)이 1.2%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1분기(1.2%) 이후 6개 분기 만에 가장 높은 성장률이다. 국내 GDP 성장률은 작년 1분기 1.2% 이후 올해 1분기까지 0%대 정체를 이어왔으나, 2분기 0.7%로 반등한 데 이어 개선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지출 항목별로 보면 내수(소비+투자)의 성장 기여도는 1.1%포인트, 순수출(수출-수입)은 0.1%포인트를 차지했다.

부문별로는 소비쿠폰 시행 등에 힘입어 민간소비가 재화(승용차·통신기기 등)와 서비스(음식·의료 등) 소비가 모두 늘면서 전분기 대비 1.3% 증가했다. 이는 2022년 3분기(1.3%) 이후 최고치다. 정부소비도 물건비와 건강보험 급여비 증가에 힘입어 1.2% 늘었다.

투자 부문 역시 개선세를 보였다. 그간 성장의 발목을 잡아왔던 건설투자는 3분기 -0.1%로, 감소 폭이 크게 축소됐다. 앞서 건설투자는 1분기 -3.1%, 2분기 -1.2%로 부진을 이어왔었다. 설비투자는 기계류 중심으로 견조한 흐름을 보이며 2.4% 증가했다.

수출은 반도체와 자동차 등의 물량 증가로 1.5% 성장했다. 다만 미국의 관세 불확실성 등으로 전분기(4.5%)보다는 성장세가 둔화됐다. 수입도 기계·장비와 자동차를 중심으로 1.3% 늘었으나, 수출 증가율을 밑돌았다.

경제활동별로는 제조업이 운송장비와 전자·광학기기 등을 중심으로 1.2% 성장했다. 전기가스수도업은 5.6% 증가했으며, 서비스업도 도소매 및 숙박·음식업의 호조에 힘입어 1.3% 성장했다. 반면 건설업은 토목공사는 늘었으나 건물 건설이 줄며 전분기 수준에 머물렀고, 농림어업은 재배업 부진으로 -4.8%를 기록했다.

국민이 벌어들인 소득의 실질 구매력을 보여주는 국내총소득(GDI)은 전분기 대비 0.7% 증가해 실질 GDP(1.2%)보다 낮았다.

이동원 한국은행 경제통계2국장은 "3분기에는 소비쿠폰 정책과 신제품 출시 효과로 민간소비가 큰 폭 늘며 내수가 성장을 견인했다"며 "4분기 성장률이 -0.1~0.3% 수준을 기록한다면 연간 1%대 성장 달성이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상욱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