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중동 평화 변수 ‘하마스 무장’…트럼프 “해제 안하면 美 개입”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biz.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015010004598

글자크기

닫기

김도연 기자

승인 : 2025. 10. 15. 17:12

가자휴전 2단계 협상 앞두고 경고
"구두 약속 받아…무장해제 할 것"
하마스, 구호품 압박에 시신 추가 인도
MEDAL OF FREEDOM CHARLIE KIRK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UPI 연합뉴스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의 무장 해제 문제가 가자지구 평화를 위한 2단계 협상을 앞두고 새로운 변수로 떠올랐다.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4일(현지시간) "하마스가 스스로 무장 해제하지 않으면 미국이 직접 무장 해제에 나설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러면서 "그 과정이 빠르고, 어쩌면 폭력적일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하비에르 밀레이 아르헨티나 대통령과 만난 자리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하마스가 스스로 무장 해제할 것"이라며 이같이 답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년간 이어진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을 사실상 종결시킨 미국 중재 휴전 합의의 '핵심 불안 요소'로 하마스의 무장 해제 문제를 지목한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모두들 '그들이 무장 해제하지 않을 것이다'라고 하지만, 그들은 할 것이다. 나는 하마스 측에 '무장 해제할 거냐'고 물었고, 그들은 자신들의 무장을 해제하겠다고 했다. 그들은 반드시 무장 해제할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우리가 하겠다"라고 말했다.

그는 구체적인 일정이나 방식은 밝히지 않은 채 "합리적인 기간 안에 이뤄질 것"이라고만 했다. 이어 "설명할 필요는 없다. 그들이 안 하면 우리가 한다. 나는 장난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하마스는 가자지구를 약 20년간 통치해왔지만, 아직까지 구체적인 무장 해제 방식이나 일정에 서명하지 않았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하마스로부터 구두로 약속을 받았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의 가자지구 휴전안에 이스라엘과 하마스가 합의하면서 하마스에 납치돼 2년 넘게 가자지구에 억류됐던 이스라엘 생존 인질 20명은 전날 모두 석방됐다.이스라엘도 종신형을 받은 250명을 포함해 팔레스타인 수감자 1900여 명을 석방하며 휴전 협정 1단계를 마무리했다.

이어 휴전 합의 2단계인 하마스의 무장 해제, 이스라엘군의 단계적 철수, 팔레스타인 민간정부 수립이 남았는데, 특히 무장 해제를 놓고 이견이 큰 상황이다.

지난 2년 동안 하마스는 여러 차례 "가자지구의 정치적 통제권을 내려놓을 준비가 되어 있다"고 밝혀왔지만, 무장 해제만큼은 '넘을 수 없는 선'이라고 주장해왔다.

이스라엘 정부는 이미 하마스가 합의를 위반했다고 비판하고 있다. 하마스는 합의에 따라 인질 시신 28구를 돌려주기로 했지만, 현재까지 인도된 시신은 4구뿐이다.

다만 가자로 가는 구호품을 제한한다는 이스라엘의 발표 이후 하마스는 14일 밤 시신 4구의 시신을 추가로 국제적십자위원회(ICRC)에 인계했다. 협상 당시 하마스는 "72시간의 기한 내에 모든 시신을 확보하기 어렵다"고 밝힌 바 있다.

요아브 갈란트 이스라엘 국방장관은 "하마스가 약속을 지키지 않고 있다"며 비판했다. 인질 가족 단체인 '인질 및 실종자 가족 포럼'은 이번 사안을 "명백한 합의 위반"이라고 규정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서 "(생존 인질 송환으로) 큰 짐은 덜었지만, 아직 끝난 게 아니다"라며 "약속한 대로 시신들을 돌려받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이스라엘 인질 시신 송환이 늦어지면서, 이스라엘은 가자지구로 반입되는 구호품과 연료를 제한하기로 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이스라엘은 15일부터 가자로 들어가는 구호트럭의 수를 당초 합의된 수준의 절반으로 제한할 예정이다.

이스라엘 국방부 산하 팔레스타인 업무조직 민관협조관(COGAT)은 또 인도주의적 기반시설과 관련해 필요한 사항을 제외하고는 어떠한 연료나 가스도 가자에 반입할 수 없다고 유엔에 통보했다.
김도연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