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공무원 70% “챗GPT 등 생성형 AI 업무 활용”…보안·호환성은 미비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biz.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013010002733

글자크기

닫기

정아름 기자

승인 : 2025. 10. 13. 13:59

자료=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위성곤 의원/ 그래픽 = 박종규 기자

국내 중앙부처와 지방자치단체 공무원 10명 중 7명이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업무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행정문서의 상당수가 AI가 인식하기 어려운 형식으로 작성되고 있어 공공부문 AI 전환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13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위성곤 의원이 공개한 '공공분야 AI 활용 현황'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국 행정기관 종사자 1만4208명 중 91.1%가 보고서·계획서 등을 한글 파일(HWP)이나 이미지·스캔 PDF 등 AI가 읽기 어려운 형식으로 작성한다고 답했다.

조사는 지난달 17일 ~ 이달 6일까지 중앙부처와 광역·기초자치단체 공무원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AI 활용 경험이 있다는 응답자는 전체의 68.9%였다. 공무원들이 활용한 생성형 AI 도구에는 챗GPT, 클로드, 코파일럿, 제미나이, 하이퍼클로바X 등이 포함됐다.

그러나 AI 사용 환경은 보안 취약성이 우려되는 개방망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I를 사용하는 공무원 1만2738명 중 54.5%가 인터넷망에서 활용한다고 답했고, 인터넷망과 업무망을 병행한다는 응답(12.9%)까지 합치면 외부망 사용 비율은 67.5%에 달했다.

AI 활용 목적(복수응답)은 △자료 검색·정리(41.5%) △행정문서 작성·요약(30.8%) △회의록·보고서 요약(14.1%)△녹취록 요약(5.6%) 순으로 나타났다.

AI 활용 역량을 뒷받침할 교육은 부족했다. 프롬프트 작성법 등 실무 교육을 연 4회 이상 이수한 공무원은 1.3%에 불과했고, 교육을 받은 적이 없다는 응답이 59.4%에 달했다. 개인정보 보호·보안 가이드라인 관련 교육 경험도 39.6%에 그쳤다.

위 의원은 "행정문서 대부분이 AI가 읽지 못하는 형식에 묶여 있다는 것은 AI 정부 전환의 걸림돌" 이라며 "공공문서를 AI-Ready(레디) 포맷으로 전환하고, 메타데이터와 API 연계를 통해 호환성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폐쇄망 기반의 전용 행정 AI 환경을 조성해 보안을 강화하고, 실무형 교육과 제도적 지원을 병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정아름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