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자사주 소각 의무화 예고에… 수혜 기대감 증권주 ‘들썩’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biz.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710010005630

글자크기

닫기

박주연 기자

승인 : 2025. 07. 09. 17:56

보유 비중 높은 신영·부국증권
각각 18.18%·29.9% 급등 마감
미래에셋·키움증권 등도 상승세
일각 "투자 위축·성장 저해" 우려
정부의 자사주 소각 의무화 정책이 본격화 조짐을 보이면서, 자사주를 보유한 증권사들의 운용 행태가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일부 증권사는 이미 대규모 자사주 소각에 나선 반면, 여전히 소각 실적 없이 자사주를 장기 보유 중인 증권사들도 적지 않다. 이 같은 상황에서 정책 수혜 기대감이 커지며, 증권주 전반이 급등세를 나타냈다. 다만 일각에서는 자사주 소각이 기업의 투자 여력을 위축시키고, 장기적 성장성을 해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9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2024년 말 기준 자사주 보유 비중이 가장 높은 증권사는 신영증권(53%)과 부국증권(42.73%)으로 나타났다. 두 회사 모두 전체 발행주식의 절반 안팎을 자사주로 보유하고 있지만, 지금까지 자사주 소각 실적은 전무한 상태다.

신영증권 관계자는 "현재로선 자사주 소각과 관련해 구체적인 계획을 밝히기 어렵다"면서도 "자사주 소각은 주주가치 제고의 한 수단일 뿐이며, 그간 꾸준한 배당을 통해 주주환원을 실천해왔다"고 설명했다.

이어 미래에셋증권이 자사주 1억3104만 주(지분율 23%)를 보유 중이며, 누적 소각 규모는 2086억 원에 달한다. NH투자증권과 키움증권의 자사주 보유 비중은 각각 0.21%, 3.56%로, 이들 역시 각각 515억 원, 1057억 원 규모를 소각하며 선제적인 주주환원에 나섰다.

삼성증권은 자사주를 전혀 보유하고 있지 않아 제도 변화에 따른 직접적인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인다. 한국금융지주의 자사주 보유 비중은 0.32%에 불과하며, 소각 실적은 없는 상태다.

정부가 자사주 보유 및 처분에 대한 제도 개편을 예고하자, 자사주 수혜 기대감이 증권주 전반의 강세로 이어졌다.

향후 자사주를 보유한 증권사들이 소각에 나설 경우 주가 부양 효과가 클 것이라는 관측에서다.

특히 자사주 보유 비중이 높은 신영증권과 부국증권 등이 급등하며 상승세를 이끌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부국증권은 전 거래일 대비 1만3950원(29.90%) 오른 6만600원에 마감하며 증권주 가운데 가장 큰 상승률을 기록했다. 신영증권도 2만4400원(18.18%) 오른 16만64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 외에도 미래에셋증권(6.76%), 한국금융지주(5.78%), NH투자증권(4.55%), 삼성증권(3.13%), 키움증권(2.20%) 등이 일제히 상승 마감했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자사주 소각 의무화 법안 윤곽이 가시화되면서 정책 기대감에 투자심리가 자극된 것으로 보인다"며 "증시 활성화를 위한 집중투표제 확대, 방위산업 지원 등 후속 로드맵도 긍정적 흐름에 힘을 보탤 것"이라고 분석했다.

정치권도 제도 정비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날 더불어민주당 '코스피 5000 특별위원회' 소속 김남근 의원은 자사주 소각 의무 조항을 담은 상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자사주 취득 후 1년 이내 소각, 대주주 의결권을 발행주식 총수의 3%로 제한하는 내용이 골자다. 임직원 보상용 보유는 정기 주주총회 승인을 의무화하는 방식이다.

특위 소속 의원들은 관련 상법·자본시장법 개정안을 잇달아 발의해 9월 정기국회에서 처리할 방침이다.

국회 법사위도 오는 11일 공청회를 열고 자사주 소각 의무화, 집중투표제, 감사위원 분리선출, 배임죄 완화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전성인 홍익대 경제학과 교수는 "자사주 매입은 신주 발행의 반대 개념인 만큼, 시장에서 회수한 주식은 원칙적으로 소각돼야 한다"며 "소각 의무화는 왜곡된 지배구조 관행을 바로잡고 상법상 주주 평등의 원칙을 회복하는 조치"라고 평가했다.

반면, 기업 자율성 훼손과 성장 여력 제약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다. 양준석 가톨릭대 경제학과 교수는 "정부가 자사주 소각을 일률적으로 의무화할 경우, 기업이 수익성 높은 투자 기회를 포기하고 단기 주가 부양에만 몰두하게 되는 부작용이 우려된다"며 "이런 방식은 기업의 자율성과 미래 성장동력을 훼손하고, 결국엔 장기적 주주가치에도 부정적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박주연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