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일 시에 따르면 6월24일부터 7월 3일까지 이뤄진 이번 1차 워크숍에는 다양한 배경을 가진 대전 시민을 비롯해 디자인 전문가, 사회혁신가, 시 관계자 등 총 30여 명이 참여했다. 연령과 배경이 다양한 시민 참여자들은 각자의 경험과 시각을 바탕으로 실질적인 정책 실험을 설계하는 데 힘을 모았다.
워크숍은 △자원순환 △치매 어르신 인식 개선 △노인 보행 안전 등 세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단순한 아이디어 도출을 넘어 사회적 맥락 이해와 참여자 간 경험공유를 통해 명확한 프로젝트 목표를 설정하는 데 집중했다.
자원순환팀은 '생산-소비-폐기'의 선형 구조를 넘어 자원이 순환하며 시민이 머무는 도시를 구현하는 방안을 모색했다. 이들은 도시 농업, 마을 커뮤니티 활성화 등을 실험 중인 '뉴워크얼라이언스' 이창현 대표와의 인터뷰를 통해 실제 적용 가능성도 점검했다.
치매팀은 치매를 단절이나 낙인의 시선이 아닌 '존엄'과 '이야기'의 언어로 재정의하며, 진단 중심 접근에서 벗어나 가까운 미래 누구나 당사자가 될 수 있다는 인식에서 출발해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스토리 기반 디자인 실험을 기획 중이다.
어르신 보행안전팀은 무단횡단을 단순한 법규 위반이 아닌 고령자의 감각과 도시 인프라 사이의 충돌로 해석했다. 이들은 디자인 리서치 기법을 통해 도시 내 위험 요소를 심층 탐색하고 있다.
퍼블릭이즈는 올해 말까지 총 10차례의 워크숍을 계획하고 있으며, 주제별 디자인 리서치, 시제품 제작, 결과 공유를 통해 지역사회 확산을 단계적으로 진행해 나갈 예정이다.
대전시는 워크숍을 통해 도출된 정책 아이디어의 가능성을 검토해 지속성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전재현 대전시 행정자치국장은 "퍼블릭이즈 프로젝트는 시민이 직접 제안하고 실행하는 정책 실험의 장"이며, "시민과 행정이 함께 만드는 지속가능한 정책디자인 거버넌스 모델로 정착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