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3일 정치권에 따르면 민주당이 '친윤(친윤석열)' 국민의힘 중진의원들에 대한 비판 수위를 높이고 있다. 특히 추경호 의원에 대한 체포동의안 표결을 앞두고 '내란 방조' 공세를 이어가는 동시에 김기현 의원 배우자 뇌물 논란도 집중 부각하고 있다.
민주당은 본회의를 앞두고 추 의원 비상계엄 해제 표결 방해 의혹을 거듭 지적했다. 김현정 원내대변인은 "윤어게인에 이어 황교안어게인을 외치는 국민의힘은 추경호 의원 체포동의안에도 반대할 거냐"며 "책임 있는 정당이라면 진상 규명에 협조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열린 본회의에서는 추 의원에 대한 체포동의안이 보고됐으며 표결은 오는 27일 진행될 예정이다.
또 김기현 의원을 둘러싼 뇌물 의혹도 파고들었다. 현재 김 의원 배우자는 청탁금지법 피의자로 입건된 상태다. 임세은 선임부대변인은 "김 의원은 윤석열 대통령실의 조직적 개입 의혹 속에 당선된 대표였다. 국민은 김 의원이 또 무엇을 건넸는지, 또 다른 누군가가 대가성 뇌물을 건넸는지 궁금해한다"며 "최소한의 진상 조사조차 이뤄지지 않은 점도 의구심을 자아낸다"고 말했다.
민주당의 이 같은 공세 배경에는 국민의힘을 윤 전 대통령과 한데 엮으려는 정치적 포석이 깔려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최근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가 내란 선동 혐의로 체포된 황교안 전 국무총리를 두고 "우리가 황교안이다"라고 발언한 것에 대해 민주당이 "국민의힘이 윤석열"이라고 맞받아친 것도 비슷한 맥락이다. 정청래 대표는 "내란의 불씨는 언제든 다시 발화될 수 있다. 만약 추경호 의원이 계엄해제 의결을 방해한 죄가 확인되면 국민의힘은 해산감"이라며 "국민의힘은 윤어게인을 외치는 내란 옹호 정당에서 아직도 탈피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국민의힘이 반사이익을 보려면 중도층을 움직이게 해야 하는데 내란 주역들과 선을 긋지 못하고 있어 득(得)을 보지 못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