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체율·NPL 비율 개선됐지만 “추가 건전성 관리 필요”
|
다만 업계에서는 본격적인 턴어라운드에 앞서 추가적인 건전성 관리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온다. 이에 따라 저축은행업권은 당분간 공격적인 영업 확장보다는 리스크 관리 강화에 방점을 둔 경영 전략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저축은행업권의 올해 3분기 누적 당기순익은 4221억원(잠정)으로 집계됐다. 3636억원의 누적 순손실을 냈던 작년 동기와 비교해 흑자 전환했다. 이중 3분기 당기순익은 1651억원으로, 지난 1·2분기에 이어 3개 분기 연속으로 흑자를 기록했다.
충당금 전입액 감소가 순익 개선에 크게 기여했다. 올해 1분기 약 9000억원 수준이었던 대손충당금 전입액은 2분기와 3분기 각각 7000억원 안팎으로 줄었다. 다중채무자 증가 등 충당금 추가 적립 요인이 있었지만, 부실채권 정리와 선제적 충당금 적립 효과로 전입 규모가 감소했다는 설명이다. 앞서 저축은행업권은 올해 상반기에만 2조1100억원의 부실 자산을 정리했다.
저축은행업권의 총자산은 전분기보다 6조1000억원 증가한 124조9000억원을 기록했다. 수신은 4분기 만기 도래에 대비해 예금을 선제적으로 확보하면서 5조5000억원 늘어난 105조원을 나타냈다. 반면 부실채권 상·매각 확대와 경기 회복 지연에 따른 대출 취급 감소로 여신은 1조5000억원 줄어든 93조4000억원으로 집계됐다.
건전성 지표도 개선됐다. 올해 1분기 9%까지 치솟았던 대출 연체율은 2분기 7.53%, 3분기 6.90%로 큰 폭 하락했다. 이는 부동산 PF 공동펀드 매각 등 업권 차원의 적극적인 부실채권 정리 작업이 효과를 낸 결과로 풀이된다. 고정이하여신비율 역시 전분기(9.49%)보다 0.70%포인트 낮아진 8.79%를 기록했다. BIS 자본비율은 이익잉여금 증가 등 자기자본 확충에 힘입어 법정 기준의 두 배 수준인 15.67%로 나타났다.
저축은행업권은 부실 정리 성과로 자산건전성과 수익성이 모두 개선됐지만, 영업 환경의 불확실성은 여전히 남아 있다고 진단한다. 정부의 가계부채 관리 강화와 건설업 중심의 부동산 경기 침체, 차주의 상환능력 회복 지연 등 잠재 리스크가 해소되지 않은 만큼, 영업 확대로 수익성을 끌어올리기까지는 시간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이에 업계에서는 당장의 영업 확대보다는 자산건전성 제고와 선제적 충당금 적립을 통해 리스크 관리에 집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이를 위해 저축은행중앙회는 이달 중 6차 부동산 PF 펀드를 조성해 부실 PF 사업장 정리를 가속화하고, NPL 자회사(SB NPL)의 연내 채권 매입을 추진해 건전성 관리 흐름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저축은행중앙회 관계자는 "체질 개선을 통한 내부 역량 축적에 우선순위를 두고, 신용평가 역량 강화와 온투업 연계대출 확대 등 영업 경쟁력 확보를 위한 다양한 노력을 이어갈 것"이라며 "서민금융기관으로서 영세사업자와 중·저신용자 대상 금융 공급도 지속 확대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