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남시는 5개 광역철도망 계획에 이어 7개 광역도로망 확충 사업을 본격 추진하고 있다고 29일 밝혔다.
광역도로망 확충 사업은 교산신도시 광역교통개선대책의 일환으로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경기주택도시공사(GH)가 총 3267억원을 투입해 추진한다.
하남시는 과거 '선(先) 입주·후(後) 교통'의 불편을 반복하지 않기 위해 계획 수립 단계부터 적극 참여했으며, 신도시 추진단(TF)을 통해 철도망과 도로망을 통합 관리하고 있다.
이 중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원도심과 교산신도시를 서울 강동구(천호대로)와 직접 연결하는 '황산~초이간 도로'(4차로, 덕산로~감초로) 사업이다. 2032년 준공을 목표로 추진 중인 이 사업은 GH가 도시관리계획 변경을 신청했으며, 하남시는 도로를 천호대로까지 직접 연장하는 방안을 국토교통부와 LH에 추가 건의했다.
하남시는 황산~초이간 도로가 완공될 경우 황산사거리 교통량이 분산되고 원도심 주민의 천호대로 접근성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하남 서부권과 서울 송파구를 연결하는 교통망도 대폭 개선된다. 구체적으로는 '동남로 연결도로'(4차로, 동남로~초광삼거리) 신설과 '서하남로 확장'(4→8차로, 초광삼거리~교산지구) 사업이 2030년 준공을 목표로 진행 중이다.
이 사업이 완료되면 서하남로 평균 통행속도는 시속 33.8㎞에서 36.4㎞로 높아지고, 지하철 9호선 중앙보훈병원역 접근거리도 4.5㎞→3.0㎞로 단축된다. 또 '서하남IC 교차로'(10→11차로) 확장과 '서하남로'(서하남IC~초광삼거리) 추가 확장(2026년 완료 예정)으로 상습 정체 구간이 해소될 것으로 기대된다.
하남시 내부를 동서로 잇는 '객산터널~국도43호선 도로'(4차로) 건설도 추진된다. 이 노선은 교산지구와 천현동을 직접 연결하며, 통행 거리 4.0㎞→2.5㎞ 단축 효과가 예상된다. 사업은 2031년 준공 목표로 추진 중이며, 개통 시 하남시와 서울을 잇는 새로운 동서 광역도로축이 완성된다.
국도43호선 확장(4→6차로, 하남IC~하산곡삼거리)은 수도권 동부권 교통 흐름 개선이라는 명분으로 GH가 시행하는 사업이다. 공사가 완료되면 천현동 등 동부권 교통 흐름이 원활해지고, 하남시는 구간을 상산곡동 기업이전단지까지 연장하는 방안을 LH·국토부에 건의 중이다.
이 밖에 선동대교(가칭) 건설에 따른 교통 혼잡을 줄이기 위한 미사강변도시 도로 보완 대책도 함께 추진되며 강일IC 우회도로(2차로) 신설, 올림픽대로 확장(8→10차로), 미사IC 램프 신설 등 총 422억원 규모의 사업이 진행 중이다.
7개 광역도로망이 완성되면 황산사거리·하남IC 일대 정체가 크게 완화되고, 서울 출퇴근 시간 단축과 함께 도시 내 이동 효율이 극대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하남시는 "과거 교통 불편의 교훈을 반영해 '선 교통, 후 입주' 원칙을 지키며 사업 추진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며 "5개 광역철도망과 7개 광역도로망이 모두 완성되면 하남이 명실상부한 '서울 30분 도시', 수도권 동부 교통 허브 도시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