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박정훈 “김현지, 李 고비마다 ‘휴대폰 교체’…국감 첫날엔 2번 바꿔”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biz.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020010006462

글자크기

닫기

이체리 기자

승인 : 2025. 10. 20. 10:26

국감 첫날 13일, 아이폰 14프로→17→14프로 변경
대장동 개발 '실무자' 김문기 사망 6일뒤 교체
2023년 李 '불법대북송금' 검찰 출석 당일도 바꿔
물 마시는 박정훈 의원<YONHAP NO-3697>
박정훈 국민의힘 의원이 16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서 열린 2025년도 국정감사에서 더불어민주당 김우영 의원과 휴대전화 문자 폭로 사태 관련 발언을 하던 중 물을 마시고 있다. /연합
박정훈 국민의힘 의원은 20일 김현지 대통령실 제1부속실장이 이재명 대통령 관련 의혹이 불거졌을 때마다 휴대폰을 바꿨다며 증거인멸 시도 의혹을 제기했다. 국정감사 첫날인 지난 13일 당일에도 김 실장은 휴대전화를 두 차례 바꾼 것으로 확인됐다.

박 의원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김현지 실장의 휴대전화 교체 기록을 KT로부터 입수해 분석했다"며 "이 대통령의 대장동, 대북송금 관련한 결정적 순간마다 휴대전화 교체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이 같이 밝혔다.

박 의원에 따르면 김 실장은 이 대통령이(당시 경기지사)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로 선출된 2021년 10월 10일 이후 자신의 휴대전화 단말기를 총 다섯 차례 바꾼 것으로 드러났다.

가장 최근은 지난 13일 김 실장은 오전 10시 36분 '아이폰 14 프로'를 최신 기종인 '아이폰 17'로 교체했지만, 11분 뒤 다시 '아이폰 14 프로'로 바꿨다. 짧은 시간에 두 차례나 바꾼 것으로, 교체 이유는 알려지지 않았다.

이에 박 의원은 "상식적으로 납득할 수 없는 일"이라며 "또 하나의 번호를 만들어 유심을 갈아 끼운 것이 아닌가 의심된다"고 말했다.

◇대장동 '키맨' 유동규 구속엔 전화번호 변경…유한기·김문기 사망하자 '휴대전화 교체'

이 대통령 대장동 개발 특혜 의혹의 핵심 인물인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본부장의 구속이 확정된 2021년 10월 19일, 김 실장은 번호를 변경했다. 유 전 본부장은 당시 구속적부심 기각으로 구속이 확정됐다.

2달 뒤인 2021년 12월 27일 오전 12시 43분, 김 실장은 또 다시 휴대전화 단말기를 교체했다. 2021년 12월 10일 '대장동 뒷돈 혐의'를 받던 고(故) 유한기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개발사업본부장이 유서를 남긴채 사망했다. 이후 2021년 12월 21일에는 대장동 개발 실무자인 고(故) 김문기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개발1처장이 사망했다. 김 전 처장이 숨진 채 발견된 지 약 6일 뒤에 휴대전화를 바꾼 것이다.

이와 관련 이 대통령은(당시 민주당 대표) 2021년 민주당 대선 후보 경선 과정에서 '고(故) 김문기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개발1처장을 모른다'는 발언과 경기 성남시 백현동 한국식품연구원 부지의 용도지역 변경이 국토교통부의 협박에 따라 이뤄졌다는 발언이 허위 사실에 해당한다는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불법대북송금' 李대통령 수원지검 출석 당일 휴대전화 교체…"김현지, 국감 출석해야"

앞서 이화영 전 경기도 평화부지사는 쌍방울 그룹으로부터 억대 뇌물을 받고 800만 달러 대북 송금에 공모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뒤 총 징역 7년 8개월의 형을 확정받은 바 있다.

김 실장은 2023년 9월 9일 휴대전화 단말기를 교체했다. 이날은 이 대통령이 대북송금 의혹과 관련해 수원지검에 출석해 조사받은 날이다. 이틀 전인 2023년 9월 7일 이 전 부지사가 당시 경기도지사였던 이 대통령에게 쌍방울그룹 대북사업에 거액을 지원했다고 보고했다는 진술을 번복하던 때다.

이에 박 의원은 "김 실장은 이 대통령의 '휴대폰 간수 지령'을 충실히 따른 것으로 볼 수 있다"며 "김 실장은 이 대통령 사법리스크의 콘트롤 타워 역할을 해온만큼 증거인멸을 위한 행위로 볼 여지 충분하다"고 강조했다.

박 의원이 언급한 '휴대폰 간수 지령'은 지난 2016년 11월 당시 성남시장이었던 이 대통령은 서울 광진구 청소년수련관에서 열린 시국 강연회에서 강조한 "여러분은 절대로 사고를 치면 전화기를 빼앗기면 안 된다"며 "여러분들이 이 전화기를 산 이후로 어디서 무슨 짓을 몇시에 뭘 했는지 다 알 수 있어요. 그래서 이걸 절대 빼앗기면 안 돼요"라는 발언을 겨냥한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면서 "지귀연 부장판사의 휴대폰 교체에 대해 민주당은 '비리 의혹을 덮기 위해 수시로 휴대전화를 교체한 것 아니냐는 정황이 드러났다'고 밝힌 바 있다"며 김 실장을 향해 "전화 교체 이유가 무엇인지,증거인멸의 의도가 있었는지, 국정감사에 출석해 소상히 밝혀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체리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