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3일 복수의 군 소식통에 따르면 김 전 장관은 지난해 11월 18일 북한이 오물풍선을 살포하자, 군단장급 이상 지휘관을 연결해 화상회의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 김 전 장관은 "확고한 대비 태세가 적 도발 억제"라고 강조했다. 같은 날 김 전 장관은 이승오 합참 작전본부장에게 북한 오물풍선 대응 계획을 보고받고 "다음 오물풍선이 오면 '상황평가결과 원점 타격이 필요하다'고 보고해라. 내가 지상작전사령부에 지시하겠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리고 "합참의장에게는 보고하지 말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이 작전본부장은 "원점타격 이전에 반드시 안보실장과 대통령까지 보고 후 승인을 받아야 하며, 동시에 유엔사에도 통보해야 한다"고 김 전 장관의 지시를 반대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 본부장은 김 전 장관이 '합참의장에게 보고하지 말라'고 한 지시도 불복하고 김명수 합참의장에게 장관의 지시 내용을 보고했다. 두 사람은 김 전 장관의 원점 타격 실행을 막을 방법도 함께 논의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해 11월 28일, 김 전 장관은 이날 북한의 오물풍선 부양을 지연 보고한 합참 본부장들을 크게 질책하고, 김 의장에게도 전화를 걸어 '상황관리를 잘하라'고 지적한 것으로 전해졌다. 다음 날 김 전 장관은 이 작전본부장을 불러 간단한 절차로 원점 타격이 가능토록 '지침 수정'을 지시했다.
오물풍선 살포 원점 타격에 대한 지시를 다시 받은 합참은 김 전 장관이 임의로 타격을 결정할 수 없도록 국방부, 합참, 관계기관 등 여러 단계의 논의를 거쳐야 하는 더욱 복잡한 지침을 마련해 이튿날인 30일 김 전 장관에게 보고했다.
합참의 지연과 불복에 불만을 가졌던 김 전 장관은 이후 합참에 더이상 원점 타격을 거론하지 않았고, 12·3 계엄에서도 합참을 제외했다고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