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국민 70% 이상 “해방 이후 친일 잔재 청산 안됐다…지금이라도 필요”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biz.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813010006519

글자크기

닫기

정채현 기자

승인 : 2025. 08. 13. 14:36

특강하는 이종찬 광복회장<YONHAP NO-3227>
이종찬 광복회장이 지난달 22일 오후 서울 종로구 대한민국역사박물관에서 열린 광복 80주년 문화예술 연계 역사교육 프로그램 '다시, 빛의 길 위에서' 명사 특강에서 '독립의 꿈, 대한민국이 되다'를 주제로 강연하고 있다. /연합
우리 국민 10명 중 7명은 1945년 해방 이후에도 친일 잔재가 청산되지 않았다고 생각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광복회는 광복 80주년을 맞아 독립유공자 후손 정체성 인식에 대한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13일 발표했다. 광복회 조사에 따르면 독립유공자 후손 78.0%, 국민 70.9%가 '해방 이후 친일 잔재가 청산되지 않았다'고 응답했다.

'지금이라도 친일 잔재 청산이 필요하다'는 응답 비율은 독립유공자 후손 83.1%, 일반 국민 71.8%로 조사됐다.

독립유공자 후손과 일반 국민의 절반 이상이 국가의 보훈 보상과 예우 수준이 부족하다고 답했다. 국가 보상이 '부족하다'는 응답이 후손 57.4%, 국민 50.7%로 절반을 넘었다. 반면 '충분하다'는 응답은 후손 12.7%, 국민 16.5%에 머물렀다.

독립유공자 후손의 생활 만족에 대한 평가는 △만족 6.4% △보통 54.4% △불만족 39.3%였다.

세대별 불만족 비율은 △자녀 30.6% △손자녀 43.6% △증·고손자녀 51.7%로 세대가 내려갈수록 증가했다.

국가보훈부의 지원이 충분치 않다는 응답은 독립유공자 후손 61.6%, 국민 51.7%였다. 후손들이 꼽은 고충은 '적은 연금액'(29.4%), 다음으로 '연금 승계 단절 우려'(25.1%) 순이었다. 반면 국민은 '사회적 무관심·차별·편견'(28.8%)을 가장 우려했다.

후손 70.1%, 국민 46.6%가 '보훈연금 및 지원 대상 확대'를 필요 정책 1순위로 꼽았다. 현 정부 중점 추진 과제에서도 '보훈 예산 및 보상 확대'가 후손 58.0%, 국민 25.3%로 가장 높았다.

이번 조사는 광복회와 광복회 학술원의 의뢰로 코리아데이터월드가 지난 1일부터 7일까지 광복회에 소속된 독립유공자 후손 850명과 일반 국민 1000명 등 총 1850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일반 국민 대상 조사는 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 ±3.09%p, 독립유공자 대상 조사는 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 ±3.19%p다.
정채현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