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사설] 먹거리 물가 경고…‘한숨’ 깊은 민생 대책 서둘러야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biz.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811010005189

글자크기

닫기

 

승인 : 2025. 08. 12. 00:00

/연합
먹거리 물가가 급등세를 보이면서 서민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11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달 식료품 및 비주류 음료 물가지수는 125.75(2020년=100 기준)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무려 3.5% 상승했다.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 2.1%를 크게 웃도는 수치다. 앞서 우리나라의 식음료 물가수준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 회원국 가운데 2위라는 통계도 있어 이래저래 서민이 느끼는 먹거리 체감 물가는 고통 그 자체일 수밖에 없다.

품목별로 봤을 때 서민의 한숨 소리는 더 커진다. 주식인 쌀은 7.6% 올라 1년 4개월 만에 다시 7%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국민 애호 식품인 라면은 6.5%로 3개월 연속 6%대 상승률을 이어갔다. 어류 및 수산 7.2%, 빵 및 곡물 6.6%, 커피·차 및 코코아 13.5% 등 밑반찬 거리부터 기호식품까지 오르지 않은 먹거리를 찾을 수가 없다. 결국 서민과 취약 계층이 직격탄을 맞을 수밖에 없다.

더 큰 문제는 대중교통 요금 등 공공서비스 물가도 함께 뛰면서 식음료 물가 부담을 가중시킨다는 점이다. 가계 시름이 더욱 깊어질 수밖에 없다. 공공서비스 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10월부터 올 2월까지 1% 이하로 안정적 흐름을 보이다 3월 1.4%로 올라섰다.

그 후 4월 1.3%, 5월 1.3%, 6월 1.2%로 상승 폭이 축소됐다가 7월에 다시 1.4%로 확대됐다. 지난 6월 말 수도권 지하철 기본요금이 150원 인상되며 도시철도료 물가가 7.0% 급등한 영향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먹거리 물가 상승은 폭염과 폭우 등 이상기온 현상이 지속되고, 가공식품 출고가도 줄줄이 인상된 게 주원인이라는 분석이다. 여기다가 국제곡물가 불안, 원자재·포장재 비용 상승, 물류비 부담, 인건비 인상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고 볼 수 있다. 미국의 관세정책에 따른 글로벌 공급망 불안도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먹거리 물가 상승의 원인이 많다는 것은 그만큼 해결도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풀어야 할 게 많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손 놓고 있을 수는 없는 노릇이다. 정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식량 자급률 제고, 유통구조 효율화, 기업담합 감시 강화, 공공요금 인상 최소화 등 모든 수단을 동원해야 할 것이다. 기업들도 생산과 유통 효율화 등을 통해 인상 억제에 힘써야 한다.

이재명 대통령은 최근 민생 회복 지원금과 관련해 "10대 강국이라 자부하면서 먹는 문제로 애달파하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먹거리 물가가 가계 지출구조 및 생활 전반에 즉각적인 파장을 미친다는 점을 명심해 물가 안정 대책을 시급히 마련, 적기에 시행함으로써 서민들의 생계 부담을 덜어줘야 할 것이다.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