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전국 2위 전북, 향후 계획은”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biz.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703010001856

글자크기

닫기

전북 박윤근 기자

승인 : 2025. 07. 03. 10:04

새만금 인근 7GW 대규모 재생에너지 발전단지 조성 추진
새만금 재생에너지 3GW, 군산·서남권 해상풍력 4GW
재생에너지 누리길 3대 정책(기업·국가·도민) 전략 마련
전북특별자치도 청사
전북특별자치도 청사
전북자치도가 새 정부의 청정에너지 확대 정책 기조에 힘입어 대한민국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중심지로 급부상하고 있는 가운데 이를 바탕으로 지역경제 핵심 동력 산업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된다.

3일 전북자치도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전북의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이 약 9833GWh로 전국 2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전북이 에너지 전환을 이끌 선도 지역임을 보여준다.

특히, 새만금 인근에 조성 중인 7GW 규모의 재생에너지 발전단지가 구축되면 신재생에너지만으로도 전력 자립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전북의 신재생에너지 산업은 2018년 '새만금 재생에너지 비전 선포식'을 계기로 신재생에너지 확대의 기폭제 역할을 했으나, 지난 정부의 원전 중심 정책 추진으로 인해 재생에너지 정책이 후퇴하면서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그러나 이재명 정부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친환경 재생에너지 대전환으로 RE100을 실현하고 재생에너지 중심의 에너지고속도로 건설, 에너지 주민소득 지급, 에너지 자립 실현을 최우선 과제로 설정했으며, 대선 후보시절 전북방문을 통해 재생에너지 확대를 약속하는 등 전북의 신재생에너지 산업은 다시 반등의 기회를 맞이하고 있다.

이에 전북이 재생에너지를 기반으로 힘차게 도약하기 위해서는 도민들의 관심과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절실하다. 특히 새만금 내측 태양광 중심의 3GW, 군산·서남권 해상풍력 4GW 등 7GW의 대규모 발전단지가 적기에 구축과 해상풍력 집적화단지 추가 지정과 수상태양광 발전사업자 선정 등 행정적 지원이 반드시 뒷받침돼야 한다.

또 수소 분야에있어 전북은 전주-완주 수소시범도시를 시작으로, 수소용품 검사인증센터(완주), 고분자연료전지 신뢰성평가센터(부안), 폐연료전지 자원순환 시험·인증 특화센터(완주) 등 수소산업의 기술 상용화 및 인증 기반을 확충해 오고 있으며, 예비수소전문기업 지원사업도 추진 중이다.

아울러 현대자동차, 일진하이솔루스, 두산퓨얼셀 등 주요 기업들이 집적된 전북은 수소 생산부터 저장·운송·활용까지 전 주기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 완주 봉동에는 수소특화 국가산단 예타가 진행 중이며, 수소 상용모빌리티 기반의 수소 클러스터 구축 예타사업도 기획중에 있다.

여기에 이재명 대통령은 대선공약에서 '재생에너지로의 대전환'을 제시했고, 대통령실 조직개편안에 AI미래기획수석실 신설과 함께 기후환경에너지비서관 배치하고 기후·에너지 정책 컨트롤타워인 기후에너지부 신설을 추진하는 등 기후위기 대응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에 발맞춰 전북자치도는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허브로 재도약하기 위한 핵심 아젠다인'재생에너지 누리길'을 마련하고 국정과제 반영을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재생에너지 누리길'은 전북의 풍부한 재생에너지 자원을 바탕으로 기업과 국가, 국민 모두가 함께 혜택을 누릴 수 있는 전북형 재생에너지정책이다.

그러나 무엇보다 전북자치도가 추진하는 재생에너지 대전환 정책이 실질적인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정부의 지원이 필수적이다.

신원식 도 미래첨단산업국장은 "새 정부의 정책 기조에 발맞춰 전북의 풍부한 신재생에너지를 기반으로 지역 기업들이 저렴하고 안정적인 전력을 공급받아 RE100 달성에 기여할 수 있는 여건 조성을 위해 제도개선 방안을 마련하고, 국가와 국민 모두가 실질적인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국정과제 반영에도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박윤근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