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트럼프 “자동차·의약품·반도체 관세 25% 수준”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biz.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219010009720

글자크기

닫기

최효극 기자

승인 : 2025. 02. 19. 07:57

4월2일 관련 내용 추가 발표
현대차·폭스바겐 큰 타격 우려
"생산시설 美이전 기회 줄 것"
1년안에 추가 인상도 시사
US-POLITICS-TRUMP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8일(현지시간) 플로리다주 팜비치에 있는 마러라고 리조트에서 행정명령 서명 중 연설하며 질문을 받고 있다. / AF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자동차·반도체·의약품에 대해 25% 수준의 관세를 부과할 가능성이 높다고 밝히고, 이와 관련 4월2일 공식 발표를 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이번 발언은 자동차·반도체·제약 등 보다 구체적인 산업을 대상으로 추가 관세를 제시한 점에서 주목된다고 블룸버그통신은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18일(현지시간) 플로리다 마러라고 클럽에서 기자들이 자동차 관세 부과 계획에 대해 질문하자 "대략 25% 수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제약 제품과 반도체 칩에 대한 관세 부과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는 "25% 이상이 될 것이며, 1년 동안 상당히 더 높아질 것"이라고 답했다. 그는 기업들이 미국 내에 생산 시설을 설립할 수 있는 시간을 주기 위해 새 관세 조치를 발표하기 전에 유예 기간을 두겠다며 "기업들이 미국으로 들어와 공장이나 생산 시설을 세우면 관세가 없다. 따라서 그들에게 약간의 기회를 주고 싶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자동차가 해외 시장에서 불공정한 대우를 받고 있다고 오랫동안 주장해왔다. 실제로 유럽연합(EU)은 수입 차량에 10%의 관세를 부과하는데, 이는 미국이 수입차에 적용하는 2.5% 관세의 4배에 달한다. 다만 미국은 수익성이 높은 픽업트럭엔 25%의 높은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할 경우 업계에 광범위한 파장이 예상된다. 지난해 미국으로 수입된 승용차와 경트럭은 약 800만대로, 미국 내 차량 판매량의 절반을 차지했다. 폭스바겐(VW)과 현대자동차 등 유럽과 아시아 완성차 업체들이 가장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고 블룸버그는 전망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조치가 특정 국가를 대상으로 할 것인지,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차량에 적용될 것인지,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 기준을 충족하는 차량은 면제될지 여부는 아직 불투명하다.

수입 자동차에 고율 관세가 부과되면 당장 소비자 가격이 뛰고 업계도 조달 비용이 증가하는 등 광범위한 영향이 예상된다. 또 고율 관세 대상으로 예고된 국가들이 보복 조치에 나설 가능성도 크다.

이런 상황에서 유럽연합(EU) 무역 담당 집행위원인 마로쉬 셰프초비치가 이번 주 워싱턴을 방문해 관세 및 기타 무역 분쟁과 관련 미국 측과 막판 협상을 벌일 예정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이후 기존 관세 외에도 중국산 모든 수입품에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했다. 또 멕시코산 제품과 캐나다산 비에너지 제품에 대한 25% 관세를 발표했으나 한 달간 유예했다.

또 그는 3월12일부터 모든 수입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대해 25% 관세를 부과할 방침이다. 지난주에는 미국산 제품에 세금을 부과하는 모든 국가를 대상으로 상호 관세 계획을 마련할 것을 경제팀에 지시한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대대적 관세전쟁에 나서면서 세계 무역질서는 크게 요동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오랫동안 다른 국가들이 미국을 착취하고 있다고 주장해왔으며, 관세 부과를 통해 산업을 미국으로 다시 불러들이고 정부 수입을 늘릴 수 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이런 조치가 미국 소비자 가격을 상승시키고, 인플레이션 심리를 자극하는 등 미국 소비자들에게 부메랑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결국 새로운 관세 정책은 글로벌 공급망과 무역 흐름을 재편할 가능성이 높으며, 결국 미국 내 가격에도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관세는 수입업체가 부담하지만, 종종 소비자 가격 인상으로 이어지거나 해외에서 가격 조정을 통해 상쇄되기도 한다고 블룸버그는 지적했다.
최효극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