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기고] 탄소중립 실현·자원순환 사회 구축 핵심 ‘가축분뇨’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biz.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118010009382

글자크기

닫기

 

승인 : 2025. 11. 18. 18:13

KakaoTalk_20251118_141605056
한갑원 축산환경관리원 경영전략실장
가축분뇨는 오랫동안 농촌 환경 문제의 주범으로 여겨져 왔다.

악취와 수질오염, 민원 등 부정적 인식이 강했지만 최근 단순한 '퇴비·액비 자원'을 넘어 탄소중립 사회 전환의 핵심 요소로 재조명받고 있다.

순환과 에너지의 매개체로서 그 가치가 새롭게 인식되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 사회가 해야 할 일은 분명하다.

기술과 제도는 이미 갖춰졌다, 이제 필요한 것은 가축분뇨 자원화 체계에 대한 명확한 선택과 실천이다.

국내에서는 매년 약 5000만 톤의 가축분뇨가 발생하며, 이중 약 80% 이상 퇴비와 액비 등으로 자원화되고 있다.

2023년 축산환경조사에 따르면 전체 발생량 5087만 톤 중 돼지 분뇨가 39%, 한·육우 분뇨가 34%를 차지한다.

발생한 가축분뇨의 약 51.5%는 농가에서 직접 자가 처리하고, 나머지 48.5%는 처리시설에 위탁된다.

이러한 대규모 자원 흐름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축산환경관리원은 현장 지원을 수행하며, 지자체와 협력해 지역별 처리시설 가동률, 양분 수지, 악취 민원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기술 수준 또한 과거 단순한 퇴비화 단계에서 벗어나 바이오가스 생산과 고체연료화 등 고도화된 방식으로 발전했다.

가축분뇨에서 발생하는 메탄가스를 포집해 발전용 연료로 활용하거나 건조·성형을 통해 화석연료를 대체하는 다양한 시도가 확산되고 있다.

특히 바이오가스화 시설은 발전과 난방에 쓰일 뿐 아니라, 정제 과정을 거쳐 차량용 바이오메탄으로 공급되는 등 농촌형 에너지 순환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축산환경관리원이 추진 중인 양분관리 시범사업 역시 중요한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

지역별 가축분뇨 발생 및 이용 정보를 파악해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이 사업은 데이터 기반의 양분 수지 관리 체계를 구축하는 첫 단계이다.

향후 시·도 단위 계획 수립으로 이어질 경우 가축분뇨의 효율적 활용뿐 아니라 비료 수입 대체 효과도 기대된다.

이러한 체계는 농업과 축산 간 양분 순환을 촉진하는 경축순환농업(耕畜循環農業)의 확산과 연결되며, 토양 건강과 생산성을 높이는 지속가능한 농업 모델로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해결해야 할 과제도 남아 있다.

지역별 가축 사육의 편중으로 일부 지역은 처리시설의 포화나 부족을 겪고 있으며, 퇴비와 액비의 품질 향상과 신뢰도 제고도 요구된다.

또한 최근 연구에서는 가축분뇨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메탄 배출량이 기존 예상보다 약 2.5배 높게 나타나,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정확한 배출량 관리와 감축 기술 도입이 시급하다는 점이 확인됐다.

결국 가축분뇨 문제는 기술의 한계가 아니라 선택과 실행의 문제이다.

축산환경관리원을 중심으로 공공과 민간, 농가와 지방자치단체가 긴밀히 협력한다면 가축분뇨는 더 이상 오염원이 아니라 안정적인 축산물 공급의 기반이자 에너지와 양분을 생산하는 핵심 자산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

이는 농촌의 탄소중립 실현과 자원순환사회 구축, 나아가 기후변화 대응 전략의 중요한 축이 될 것이다.

가축분뇨의 변신은 이미 시작되었다. 이제 남은 것은 그 가능성을 믿고 선택하는 일이다. 환경을 보호하고 농촌을 살리며 미래 세대를 위한 순환경제를 완성해 나가는 길, 그 중심에는 변신의 귀재인 가축분뇨가 있다.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