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여의로]깜깜이 신용평가 체계...이젠 명확한 기준부터 만들어가야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biz.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106010003558

글자크기

닫기

조은국 기자

승인 : 2025. 11. 06. 18:08

조은국 사진
"1000점, 상위 6%" "964점, 상위 18%"

두 사람이 아닌 한 사람에 대한 신용평가 점수다. 다만 평가기관이 나이스와 KCB로 다를 뿐이다. 어떤 기관이 평가하느냐에 따라 한 인물이 상위 6%로 평가되기도, 상위 18%로 평가되기도 한다는 뜻이다.

신용점수는 대출 등 금융소비자 개개인의 금융거래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다. 지금과 같이 정부가 가계대출을 옥죄는 상황에서 그 정도는 더욱 강해진다.

신용점수는 금융소비자의 대출 상환능력을 수치화한 지표다. 점수가 높을수록 대출 한도는 높아지고 금리는 낮아진다.

특정인에 대한 나이스와 KCB 두 곳의 평가가 다른 이유는 무엇일까. 기관마다 가중치를 두는 항목이 다르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신용점수를 평가하는 항목은 대출자의 상환이력과 부채수준, 거래기간, 금융거래 실적 등이 반영된다.

하지만 평가 항목에 대한 비중은 두 기관이 다 다르다. 이 때문에 같은 사람에 대한 신용점수가 달라지는 것이다. 다만 은행과 카드사, 보험사 등 18개 금융사들이 주주로 참여하는 KCB 데이터를 대부분 활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시중은행은 또 자체적으로 금융소비자의 신용도를 평가한다. 두 기관의 주요 지표를 참조하면서도 자체적으로 재평가한다는 얘기다. 하지만 은행마다 신용평가 기준과 항목, 비중들이 다르다. 또 이를 공개하지도 않고 있다. 영업비밀이라는 이유에서다.

이 때문에 금융소비자들은 자신의 신용점수가 어떤 기준으로 평가되는지, 이를 올리기 위해선 어떤 노력을 해야 하는지 알 수 없다. 연체 없이 신용카드를 꾸준히 사용하는 등의 일반론만 알 뿐이다.

이에 은행들이 대출자의 신용도를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는 기준을 수립하고, 이를 투명하게 공개해 소비자들이 적극 대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요구가 커지고 있다. 금융소비자들이 은행들의 심사 기준을 정확하게 알 수 있다면, 이를 반영해 신용점수를 올리는데 큰 도움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은행도 할 말이 있다. 과거 대출 조건 등이 알려졌을 때 작업대출 등 사기대출 사태로 이어진 전례가 있었는데, 신용평가체계를 공개하게 되면 같은 부작용이 발생할 수도 있다는 우려다.

하지만 "구더기 무서워 장 못 담글까." 일부 부작용이 있더라도 금융소비자에게 효용가치가 높다면 은행들도 고민해봐야 한다.

정치권에서도 은행들의 신용평가체계 기준을 공개하는 방안에 대해 필요성을 알고 있다. 추후 법제화가 돼, 은행에 강제하는 것보다 선제적으로 은행이 독립적이고 경쟁력이 있는 신용평가체계를 개발하고, 이를 소비자들에게 공개한다면 이 역시 포용금융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둬야 할 것이다.
조은국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