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자산 관련 종목 인기에 힘 입은 영향
|
16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미국 주식의 국내 보관 금액은 12일 기준으로 1377억 달러(약 190조5000억원)에 달해 사상 최고치로 집계됐다. 올해 연초의 미국 주식 보관액인 1090억달러와 비교해선 약 22.7%가 늘었다.
현재 미국 주식 열풍은 암호화폐 등 가상 자산 관련 기업들이 주도하고 있다. 최근 한 달(7월14일∼8월13일) 동안 순매수액이 가장 많았던 미국 주식을 살펴보면 10위권에 가상 자산 기업이 3곳이나 이름을 올렸다.
순매수 1위는 암호화폐 채굴·투자 회사인 '비트마인'(Bitmine)으로 한 달 동안 2억9200만달러가 몰린 것으로 나타났다. 웹마케팅 업체 '샤프링크 게이밍'과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는 각각 7위(순매수액 1억2200만달러)와 8위(1억1800만달러)였다.
이중 비트마인과 샤프링크 게이밍은 유명 암호화폐 '이더리움'을 전략적으로 비축하는 업체들이다. 이 때문에 금융투자 업계에서는 이 회사들에 대한 순매수자 중에서 이더리움을 간접 투자하려는 이들이 상당수 포함돼 있을 것으로 본다.
이더리움은 최근 미국 정부의 스테이블 코인(달러 등 실제 자산에 연동된 암호화폐) 법제화 흐름과 맞물려 인기가 치솟고 있다. 많은 스테이블코인이 이더리움 네트워크에서 거래되고 있어, 스테이블 코인의 합법화 및 확산과 함께 이더리움의 몸값도 오를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최근 영국계 유명 금융사 스탠다드차타드(SC)는 이더리움을 둘러싼 투자 환경이 개선됐다면서 올해 말까지의 이더리움 가격 전망치를 종전 4000달러에서 7500달러로 대폭 올렸다. 이더리움은 최근 6개월 사이 약 78.2%가 올라 14일 기준 개당 약 4768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디지털 자산 업계의 한 관계자는 "단 스테이블 코인을 이더리움이 아닌 다른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거래하는 수요도 계속 늘고 있다. 이더리움을 스테이블 코인 법제화의 직접 수혜주로 단정 짓기에는 아직 여러 변수가 있어 관련 투자에 주의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애초 미국 주식 투자는 테슬라,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등 인공지능(AI) 관련 기술주가 인기를 독차지했지만, 현재는 그 양상이 크게 바뀌었다. 최근 한 달 동안의 순매수 상위 10위 리스트에서 AI 기술주는 지난 달 말 상장한 소프트웨어 업체 '피그마'(5위·1억5800만달러) 한 곳이 유일했다.
금융투자협회의 집계에 따르면 국내 증시의 대기 자금인 투자자예탁금은 최근 한 주(7∼13일) 동안 66조8765억원에서 67조8339억원으로 소폭 증가했다. 빚을 내 투자하는 '신용거래융자' 잔고는 같은 기간 21조5752억원에서 22조231억원으로 뛰었다. 신용거래융자는 통상 증시 상승세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면 따라 증가한다.
여유 자금을 단기 보관하는 '파킹' 자금인 CMA(자산관리계좌) 잔고는 한 주 사이에 84조269억원에서 86조8317억원으로 대폭 올랐다. 다른 파킹 자금인 MMF(머니마켓펀드)는 같은 기간 반대로 약 1조6000억원이 감소해 230조6309억원으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