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원회는 13일 기자회견을 열고 "윤석열과 김건희의 최측근이자 정치검사 출신인 김상민 전 국정원장 특보가 작성한 보고서가 대법원 판결문에서조차 흉기로 규정한 칼을 사무용 '커터칼'로 격하했다"고 비판했다. 또한 보고서가 "이 사건은 테러에 해당하지 않으며 설령 테러라 할지라도 테러로 지정할 실익이 없다"고 결론 내린 것은 정권교체 직전 사건을 종결하려는 시도라고 주장했다.
위원회는 사건 초기부터 관계기관의 조직적인 축소와 왜곡 시도가 있었다고 지적했다. 국정원 대테러상황실이 가해자를 '노인'으로, 흉기를 '과도'로, 심각한 부상을 '경상'으로 축소 보고했으며 현장에 출동한 경찰이 "현장을 물청소하는 등 증거인멸 정황까지 드러냈다"고 밝혔다. 또한 테러범의 조력자와 배후 세력에 대한 수사 요청이 묵살됐다고 덧붙였다.
이들은 국정원 보고서가 지난 대선 국면에서 이 대표를 공격하는 정치적 빌미로 악용됐다고 강조했다. 사건을 두고 안철수 의원이 '구차하다'는 망언, 나경원 의원의 '자작극' 주장, 곽규택 의원의 조롱 등을 언급하며 "피해자에 대한 모욕을 정치 전술로 악용하는 이 비열한 행위가 국정원의 보고서로부터 비롯된 것이라면 이는 결코 용납돼선 안될 것"이라고 했다.
이에 위원회는 국정원을 향해 △정치적 중립성 훼손에 대한 대국민 사과 △김상민 보고서 작성 경위 및 조태용 전 원장 역할에 대한 진상조사 △사건의 '정치테러' 공식 재지정을 요구했다. 또한 경찰과 검찰에는 △배후와 공범에 대한 전면 재수사 △최근 제기된 '김건희 배후설'에 대한 철저한 수사를 국무조정실에는 △대테러합동조사팀 재가동을 통한 진실 규명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