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반추출물 활용 약침, 조직회복과 진통 효과 확인
홍진영 박사 "스테로이드 기반 주사치료와 달리 부작용 적어"
|
척추관협착증은 척추관이 좁아져서 신경이 눌려 허리 통증, 다리 감각 저하 등이 유발되는 질환이다. 한의학에서는 침·약침, 추나요법, 한약 처방 등으로 치료하는데, 특히 척수신경을 감싸고 있는 경막과 척추뼈 사이에 약침을 주입하는 경막외 약침 치료는 신경 주변 염증과 통증에 집중적으로 작용해 치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12일 자생한방병원에 따르면 병원 소속 척추관절연구소는 해당 연구 결과를 SCI(E)급 국제학술지 '정형외과 연구저널-척추 (JOR Spine, IF=3.4)'에 게재했다.
이번 연구에서는 약침 중 하나로 활용되는 '자하거 약침'의 효과를 분석했다. 자하거는 태반 추출물을 활용했는데, 이는 항산화 물질, 세포 재생 인자 등이 풍부해 조직 회복과 면역 조절에 뛰어나다.
연구팀은 통증 관련 감각 뉴런인 후근신경절(DRG) 뉴런에 산화 스트레스로 손상을 일으킨 후 자하거 약침을 2.5mg/mL와 5mg/mL 농도로 투여했다. 실험 결과, 뉴런의 생존율이 유의하게 증가, 축삭(신경섬유) 돌기 등이 성장했다. 통증 관련 단백질인 TRPV1, CGRP, IB4 등의 발현이 억제돼 자하거 약침의 진통 효과를 확인했다.
이후 동물 실험에서도 항염 작용을 유도하는 M2형 대식세포 인자(ARG1, CD206)가 2배 이상 활성화되며 항염 효과가 확인됐다. 또 척추관협착증으로 인해 증가된 통증 관련 유전자(Il1rn, Scn9a, CGRP, IB4 등)의 발현이 약침 농도에 따라 최대 2배 이상 억제된 것으로 나타났다. 손상된 척수 조직에서는 신경 재생 및 축삭(신경섬유) 발아에 관여하는 유전자(Bdnf, Ngf)의 발현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안전성 평가에서도 긍정적 결과가 도출됐다. 보행 분석 등을 기반으로 한 운동 기능 평가에서 자하거 약침 투여군은 비투여군 대비 회복 속도가 뚜렷했다. 외부 자극에 대한 통증 민감도 역시 유의하게 감소했다. 특히 반복적인 경막외 자하거 약침 투여에도 체중 변화, 간 수치 등에 이상 반응이 관찰되지 않아 안전성도 확인됐다.
홍진영 척추관절연구소 박사는 "자하거 약침은 스테로이드 기반 주사 치료와 달리 부작용 우려가 적고, 신경 재생 및 염증 억제 등 근본적인 치료 가능성을 갖고 있다"며 "향후 더 확대된 연구를 통해 추후 임상에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