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잇단 테러단체 연계 범죄… 국정원 ‘APEC 대응 태세’ 고삐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biz.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811010004641

글자크기

닫기

최민준 기자

승인 : 2025. 08. 10. 17:37

이태원서 파키스탄 테러 조직원 검거
자금 제공 등 관련 범죄 잇따라 발생
국내 위협 우려 테러단체 82곳 지정
서울 서초구 내곡동 국정원. /연합
국제 테러 조직의 활동 반경이 확대되며 '안전지대'로 불리던 한국도 테러 위협에 직면하고 있다.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국가정보원(국정원)은 국내를 겨냥한 테러 공격에 대비해 대응 태세를 강화하고 있다.

경찰은 파키스탄 국적의 40대 A씨를 국민보호와 공공안전을 위한 테러방지법 및 출입국관리법 위반 혐의로 구속 송치했다고 10일 밝혔다. A씨는 2008년 인도 뭄바이 테러로 166명을 살해한 파키스탄 테러 조직 '라쉬카르 에 타이바(LeT)'의 정식 조직원으로 활동한 혐의를 받는다. 그는 사업으로 한국에 오는 것처럼 위장한 채 비자를 받아 2023년 12월 입국했다. 국정원은 앞서 관련 첩보를 입수하고 경찰과 공조해 서울 이태원에서 A씨를 검거했다.

국제 테러 단체와 연계된 범죄는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지난 4월 우즈베키스탄 국적의 20대 B씨가 징역 10개월과 추징금 77만원을 선고받았다. 2022년 시리아 테러단체 'KTJ' 소속 자금 모집책에게 두 차례에 걸쳐 한화 77만원 상당의 암호화폐(USDT)를 테러 자금으로 제공한 혐의다. 2023년에도 '타브히드 바 지하드(TvJ)' 간부에게 휴대전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140여 만원을 송금한 카자흐스탄 국적의 20대 불법체류자가 실형에 처해졌다.

국정원은 전세계 82개 조직을 한국에 위협이 되는 테러 단체로 지정하고 있다. ISIS와 알카에다, 탈레반처럼 국내에 잘 알려진 조직이나 최근 검거된 LeT 등이 해당한다. 특히 아시아 태평양과 중동 지역에 60개 조직이 집중된 것으로 나타나 한국에 관심이 쏠릴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한국이 동북아시아 중앙에 위치해 유라시아 대륙과 태평양을 잇는 경제·안보의 허브로 존재감이 높아지는 만큼 다양한 형태의 테러 위협에 노출될 수 있다는 것이다.

국정원은 '글로벌 이슬람 테러단체'의 전세계 무슬림 대상 선전·선동이 강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국내에서도 선전에 경도된 이들이 테러에 동조하고 활동자금을 지원하는 사례가 증가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또 난민으로 위장한 테러단체 조직원들이 잠입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한국이 더 이상 테러 청정지대가 아니라는 의미다.

정보당국은 특히 오는 10월 경북 경주에서 열리는 APEC 정상회의를 향한 국제 테러 조직의 다양한 위협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국정원은 올해 상반기 공개한 '2024년 테러정세와 2025년 전망 보고서'에서 APEC 정상회의에 대한 △국제 테러단체의 공격 △행사방해 목적의 인지전과 관련 서버 해킹 △NGO의 기습시위 혹은 비밀 파괴 공작(사보타주) 등의 가능성을 제기했다. 그러면서 "회의를 겨냥한 테러 위협이나 행사 방해 시도가 우려된다"고 내다봤다.
최민준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