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서울 버스노조, 30일부터 총파업 예고…서울시, 비상수송대책 ‘총력’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biz.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428010016875

글자크기

닫기

박지숙 기자

승인 : 2025. 04. 28. 17:38

지하철 173회 증회, 무료셔틀버스 운영 등 시민 불편 최소화
[포토]시만의 발..버스  총파업
서울 시내버스 총파업이 시작된 지난해 3월 28일 중구 서울역 인근 버스 정류장의 썰렁한 모습./박상선 기자
서울 시내버스 노조가 오는 30일부터 전면 쟁의행위를 예고하자, 서울시가 비상수송대책을 마련했다.

28일 서울시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부터 서울시버스노동조합에서 실시한 쟁의행위 투표가 찬성으로 최종 가결됐다.

노조 측은 현재 서울지방노동위원회에서 조정 중인 임금협상이 최종 결렬될 경우 4월 30일(수)부터 전면 쟁의행위에 돌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서울 시내버스 노조와 사업조합은 2025년 임금협상을 위해 지속 협상해 왔으나 각자의 입장 차를 좁히지 못하고 있는 상태다. 지난 14일 서울지방노동위원회 조정신청을 통해 조정 중이며, 조정기한은 29일까지다.

노조 측에서 예고한 대로 '준법투쟁', '안전운행 캠페인' 등 전면 쟁의행위가 시작되면 운행지연과 배차간격 증가 등 시내버스 운영에 큰 차질이 예상된다.

특히 올해는 임금 인상 정도에 대한 노사 간 입장 차가 커서 안전운행 외에도 전면 파업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에 시는 파업에 대비한 비상수송대책을 수립했다. 우선 지하철은 출퇴근 혼잡 완화를 위해 1일 총 173회를 증회하고, 출퇴근 주요 혼잡시간을 기존보다 1시간 연장하며, 지하철 막차도 익일 02시까지 연장 운행한다.

또한 서울 25개 각 자치구에서는 무료셔틀버스를 운행한다. 시내버스 운행이 중단되는 노선 중 마을버스가 다니지 않는 지역을 중심으로 주요 거점에서 지하철까지 연계할 수 있도록 민·관 차량 500여 대를 즉시 투입할 예정이다. 셔틀버스 노선 정보는 서울시 및 자치구별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파업의 장기화를 대비해 출근 시간에 집중되는 이동수요를 분산하고자 시내 초·중·고등학교와 공공기관, 민간기업 등에 등교 및 출근 시간을 1시간 조정해 줄 것을 요청할 계획이다.

여장권 교통실장은 "가급적 전면적인 쟁의행위로 이어지지 않도록 노사 간 협의를 지속해 나갈 것"이라며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시민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비상수송대책 마련에도 만전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박지숙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