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이창용 “불확실성, 경기 하강 위험 불구 세계 경기 침체 국면 아냐”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biz.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426010015645

글자크기

닫기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승인 : 2025. 04. 26. 13:42

이창용 한은 총재 "G20 회의·IMF·WB 총회 참석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들, 무역전쟁 한국 대응 긍정 평가"
"미·중 무역전쟁 지속시 미-각국 무역협상 타결 효과 상쇄"
이창용 한은 총재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인근 버지니아주 애넌데일의 한 음식점에서 가진 특파원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아시아투데이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25일(현지시간) 다수의 각국 중앙은행 총재와 재무장관들이 한국이 글로벌 무역전쟁에 잘 대응하고 있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고 전했다.

이 총재는 또 불확실성으로 경기 하강 위험성이 매우 크지만, 아직은 전 세계적으로 경기 침체라고 표현할 정도는 아니라고 진단했다.

이 총재는 이날 저녁 미국 워싱턴 D.C. 인근 버지니아주 애넌데일의 한 음식점에서 가진 특파원 간담회에서 이번 주 참석한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와 국제통화기금(IMF)·세계은행(WB) 춘계 총회에서 논의된 내용을 평가하면서 이같이 말했다.

◇ 이창용 한은 총재 "G20 회의·IMF·WB 총회 참석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들, 무역전쟁 한국 대응 긍정 평가"
"불확실성으로 경기 하강 위험성 불구 글로벌 경기 침체 국면 아냐"

이 총재는 이번 총회에 참석한 각국 중앙은행 총재와 대표들이 한국의 계엄 사태에 대해 민주주의 제도가 회복력 있고, 강건한 것으로 평가했다고 전했다.

이어 총재와 대표들이 무역전쟁 때문에 해외 의존도가 높은 한국이 굉장히 어려울 것이라고 말하면서도 미국에 대한 현대차그룹의 210억달러 투자 발표 등 한국 기업들이 수출 의존도가 높은 아시아의 다른 국가들에 비해 바쁘게 반응하고 유연하면서 민첩하고 기민하게 움직이고 있다고 평가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 총재는 "어렵다고 생각하지만, 몹시 부정적으로 보지는 않는다는 긍정적인 면도 있었다"고 덧붙였다.

◇ 이창용 "불확실성·시장 기능 작동 여부·무역전쟁의 경기 영향, 각국의 무역전쟁 대응 방안 등 논의"
"미·중 무역전쟁 지속시 미-각국 무역협상 타결 효과 상쇄"

이 총재는 이번 회의의 키워드가 '불확실성'이었다며 먼저 미국 관세 정책의 방향과 최근 금융시장 상황, 특히 미국 국고채 시장에서 변동이 심했던 상황, 또 달러의 움직임 등의 원인, 미국의 국가별 협상이 잘 진행되면 미국 금융시장이 다시 안정될 것인지, 현 상황이 일시적인지 장기적인지 등 불확실성에 관한 논의가 많았다고 전했다.

두번째로는 미국 국채 가격·환율 등 급격한 변화 속에서도 시장의 기능이 잘 작동했는데, 무역전쟁이 장기화할 경우 시장 기능 작용 지속 여부와 미작용시 일어날 상황에 관한 논의가 많았다고 이 총재는 밝혔다.

세번째로는 무역전쟁이 경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논의가 많았고, 네번째로는 각국의 대응 방안에 관해 많은 얘기를 나눴다고 한다.

이 총재는 무역전쟁의 경기 영향과 관련, 수입품에 대해 고율 관세를 부과한 미국의 물가가 크게 상승할 가능성이 있지만, 다른 나라들이 보복 관세를 하지 않는다면 글로벌 물가 영향보다는 오히려 무역전쟁으로 인한 경기 침체가 더 심각해질 수 있는 게 아닌가라는 논의가 많았다면서도 아직 글로벌 경제가 침체 국면을 아니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도 이 총재는 "앞으로 이 상황이 계속 유지되려면 미국과 다른 나라와의 무역협상 타결도 중요하지만, 미·중 협상이 안 되면 경제적인 비용이 굉장히 크다"며 "미·중이 협상을 빨리해 이 문제를 해결하라는 압박이 미·중에 많이 전해졌다"고 밝혔다.

이어 IMF가 22일 세계 경제 전망을 발표하면서 제시한 3개의 시나리오 중 상호관세가 없어지지 않고 계속되는 시나리오와 중국을 뺀 나머지 국가에 대한 관세가 90일 뒤인 7월 8일 없어지는 시나리오의 성장률 차이가 거의 없었다며 "이는 다른 나라에 대한 관세가 25%이건 아니건 중국에 대한 관세가 훨씬 높아졌고, 이에 중국이 보복한 효과가 다른 나라에 대한 관세 면제 효과를 상쇄시켰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