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장용동의 우리들의 주거복지] 한국 건설의 기회, 전후복구 참여에 총력을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biz.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305010001745

글자크기

닫기

 

승인 : 2025. 03. 05. 15:38

2025020501000395300024221
장용동 한국주거복지포럼 상임대표
건설 산업이 경제는 물론 사회, 정치적으로 최악의 파탄을 초래한 6·25의 상처를 딛고 세계 10위권 경제 대국으로 이끈 결정적인 역할을 해왔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국가의 외환이 바닥났을 때도 해외에서 받은 건설대금으로 메꾸었고 고속도로, 댐 등의 사회기반시설과 중화학공업 등 중후장대한 산업의 토대 역시 밖에서 벌어들인 건설자금이 시드머니가 되어 오늘날 반도체 부흥에까지 이르게 된 것이다.

열사(熱沙)의 나라 중동을 비롯해 동남아시아, 험난한 아프리카 등 지구촌 어디에도 한국 건설의 손길이 미치지 않은 곳이 없을 정도로 K-건설은 팔방미인으로 활동해 왔고 그로 인한 명성은 작금의 K-팝 이상이다. 세계 최고높이의 바벨탑이라 할 수 있는 부르즈 할리파를 완벽히 소화해 낸 게 우리의 건설실력이며 이는 바로 한국 건설의 명성이자 기술력의 상징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강인한 한민족의 근성은 전쟁 속에서도 빛이 났다. 숱한 포화 속에서도 철수하지 않고 전후 복구사업에 나섬에 따라 이란이나 이라크, 쿠웨이트 등에서 깊은 신뢰를 쌓은 바 있으며 이는 이들 국가뿐만 아니라 주변국들에서 깊은 인상을 심어줬다. 바로 중동에서의 대규모 공사 수주와 참여가 1970년대 이후 지속해서 이뤄지고 우리의 큰 시장이 되는 것도 이러한 이유에서다.

이 같은 우리의 경험과 명성을 토대로 또 한 번 대업을 이루고 경제위기의 한국을 구할 절호의 찬스가 도래하고 있다면 너무 과한 환상일까. 적어도 우리의 6·25전쟁 이후 복구경험과 급속한 경제발전, 그리고 중동에서의 전후 복구공사 전력과 강인한 한민족의 정신력 등을 고려하면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그리고 가자지구의 전후 복구사업 참여에 밀릴 이유가 전혀 없다.

더구나 이들 국가는 외교적으로도 우리와 밀접한 관계를 맺어오고 있는 국가이며 한국에 대한 인상이 크게 붐업(boom-up)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는 우리의 참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게 틀림없다. 200만호 주택 및 신도시 건설 등의 다양한 경험을 전수할 절호의 기회이며 도로, 철도 등의 복구공사 역시 인프라 건설 경험을 살려 조속 수행이 가능하리라 본다. 아울러 파워 플랜트를 비롯해 산업단지 조성 역시 우리처럼 빠른 시기 내 완료할 건설사가 많지 않다.

물론 트럼프-젤렌스키 회담에서 보듯이 강대국 영향력 아래 모든 게 이뤄지는 국제질서를 감안하면 우리의 참여 범위가 그렇게 간단하지 않을 게 분명하다. 더구나 국제적으로 펀드를 조성해 인프라 등 전후 복구사업을 본격 추진한다는 계획이어서 지원금액과 자본의 지분 크기에 따라 강대국의 목소리가 클 수밖에 없는 것도 현실이다.

하지만 우리의 시공실력을 인정받은 만큼 컨소시엄 형태나 하도급 형태의 수주가 가능하고 우리의 참여를 감안한 사전 전후 복구사업 플랜도 세웠던 만큼 이들 국가와의 경제외교 강화 여부에 따라 우리 몫이 결정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예컨대 우크라이나의 경우 세계은행과 유엔 등에 따르면 전후 복구비용이 4860억 달러(2024년 2월 기준)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단순 물리적 복구 외에 디지털 전환과 녹색환경 등의 현대화작업까지 병행해야 한다고 밝혀 우리의 참여폭은 그만큼 커 보인다. 실제로 우크라이나 정부는 도로, 다리, 에너지 복구사업 등 대략 850개의 프로젝트를 재건협의회를 중심으로 우선 추진할 뜻을 밝혔으며 지난 2023년부터 지원해 온 우리는 이미 민관합동 재건 협력단을 파견해 6대 선도프로젝트에 대한 구체적 사업범위를 확정하고 추진계획을 수립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복구 외에 추후 경제성장의 밑그림까지 논의되고 있는 점은 매우 고무적이다.

다만 기능 인력을 수반한 공사참여는 예전의 얘기다. 중동을 보면 튀르키예, 중국 등의 건설업체 외에 폴란드 등 중·후진국 건설사들이 대거 활동하고 있어 실제 시공에서는 극히 불리한 위치다. 하지만 이들 업체와의 연대를 통한 우회 진출 방안이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국제적 신뢰를 얻고 있는 시공 경험과 작업방식, 공기 준수 등을 효과적으로 내세우며 수주전에 참여한다면 의외의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이번의 전후 복구 참여가 가뜩이나 위기에 몰린 건설업은 물론 한국경제에 불을 지필 수 있는 결정적 기회인 만큼 정부와 해외건설협회, 업계는 긴밀히 협력, 활로를 개척해야 할 것이다. 어지러운 정치상황 속에서도 모처럼 탈출구라는 인식하에 관계기관은 물론 건설업 전체가 혼연일체가 되어 소통과 지원으로 국가적 대업을 이루길 간절히 소망해 본다.

※본란의 칼럼은 본지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

장용동 한국주거복지포럼 상임대표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