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 협력 대응체계 필요
|
11일 환경부에 따르면 올해 인공지능(AI) 홍수예보 도입과 함께 예보 지점은 기존 75개에서 223개로 3배 가량 늘었다. 다만 이처럼 예보지점이 확대가 된다고 해도 실제 현장에서 인명사고 및 재산피해로 이어지지 않기 위해서는 사전 위험도 평가가 제대로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한국행정연구원이 발간한 '2023 집중호우의 재난관리 이슈 분석: 현장 상황전파체계를 중심으로' 보고서에 따르면 위험도 평가 결과가 실제 사고지와 상이한 문제가 계속 발생하고 있다. 실제 지난해 14명의 사망자를 낸 오송 지하차도 참사의 경우 위험등급이 가장 낮은 등급인 3등급으로 평가돼 논란이 일기도 했다. 예산 산사태의 경우에는 산사태위험지구 외 지역으로 평가받은 것으로 전해진다.
보고서는 재난담당부서 이외 부서에서는 재난관리에 대한 기본적 지식도 부재한 것으로 평가했다. 오송지하차도 사고 시 충북도 도로관리사업소가 지하차도 CCTV로 상황이 포착될 수 있었지만 이에 대한 대응이 이뤄지지 않은 점을 지적했다.
환경부는 물관리 취약 지역을 '물순환 촉진 구역'으로 지정해 관리하는 내용의 '물순환촉진법' 제정으로 침수 등 문제를 예방·대응하겠다는 계획을 세웠지만 해당 법 시행까지 공백기간동안 관계부처와의 긴밀한 협력과 대처는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한편 지난해 장마철은 전국적으로 660.2㎜의 비를 뿌리며 역대 3위의 강수량을 기록했다. 이는 평년(356.7㎜) 대비 약 1.85배 많은 양이다. 이 때문에 지난해에는 행정안전부 잠정 발표로 사망 47명, 실종 3명, 부상 35명으로 인명피해가 85명에 달한 것으로 확인됐다.
기상청에 따르면 올해는 7~8월 기준으로 평년과 비슷하거나 많을 가능성이 각각 40%로 집계됐다. 기상청 관계자는 "장마 전망이 어떻게 될지는 확언하긴 어렵다"며 "다만 더 많이 올 확률과 평년과 비슷할 확률이 비등하게 나타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