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재정부에 따르면 경영평가 대상 130여 개 공공기관 중 문 정부에서 임명된 기관장은 108명으로 무려 83.1%에 달했다. 이에 비해 윤석열 정부 들어 임명된 기관장은 고작 18명으로 13.8%에 불과했다. 공공기관 이사·감사 등 임원의 경우 문 정부 때 임명된 인사가 1073명(80.6%)인 데 반해 윤 정부 인사는 259명(19.3%)에 그쳤다.
문제가 심각한 것은 문 정부 때 임명된 일부 핵심 기관장들의 경우 각종 비리와 범죄 혐의에도 불구하고 물의를 빚는 통에 업무가 거의 마비되고 있다는 점이다. 종합편성채널 재승인 과정에서 점수 조작 혐의로 검찰에 의해 기소된 한상혁 방송통신위원장과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 아들의 탈영의혹과 관련 감사원 감사를 받고 있는 전현희 국민권익위원장의 경우가 대표적이다.
정권이 바뀌면 대통령이 직·간접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자리는 130여 개 경영평가 대상 기관을 포함 얼추 5000개가 넘는다고 한다. 미리 정해진 인사 원칙과 잣대가 없으면 파열음은 되풀이될 수밖에 없다. 문 정부와 윤 정부 인사들의 '불편한 동거'는 국력의 낭비다.
문 정권에서 임명된 기관장들은 이제라도 스스로 물러나는 것이 윤석열 후보를 대통령으로 선택한 국민에 대한 도리이다. 차기정부가 활용할 인사지침서인 미국의 '플럼 북'이 대안이 될 수 있다. 정무직과 전문직으로 구분하고, 정권을 위한 정무직은 정권이 바뀔 때마다 물갈이를 제도화하는 방식이다. 이런 방식을 포함해서 국회도 대통령과 공공기관장 임기를 일치시키는 법안을 마련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