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팬데믹 이후 침체가 깊어진 '상업용 부동산'이 금융위기의 또 다른 '뇌관'으로 떠오르고 있다. 금리 급등기를 거치며 부동산값이 대폭 하락했고, 이것이 한국과 미국의 은행 대출 부실을 키워 유동성 위기를 앞당길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최근 국내 증권사들은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 연체율이 급등하면서 일부 증권사의 경우, 계열 저축은행에 자금을 수혈하고 나섰다.
국내 대출시장도 주택담보대출과 신용대출 연체율이 급등하는 등 빨간 경고등이 켜졌다. 개인들이 지난해 금융권에서 받은 주택담보대출을 제때 갚지 못해 발생한 연체가 전년 대비 50% 이상 뛰어올랐다. 신용대출 연체액도 2조5730억원에 달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고 이런 추세는 더 빨라지고 있다. 저축은행에 이어 시중은행도 더 이상 안전지대가 아닐 수 있다.
금융당국은 국내 금융시장에 대한 선제적 관리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국내 금융시장 돈줄이 마르면 가장 약한 고리인 부동산 PF에 노출된 저축은행과 증권사가 가장 먼저 타격을 입을 수 있다. 부동산PF 동향을 면밀히 점검, 위기가 번지지 않도록 사전에 방화벽을 두텁게 쌓아야 한다. 개인 및 기업 대출시장에서 신용경색 현상이 확산돼 실물경제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금융시장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필요할 경우 창구지도에 나서도록 해야 한다. 국회는 현재 5000만원인 예금자 보호 한도를 1억원으로 올리는 법안도 하루빨리 처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