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한국 폄화, 주한미군 완전 철수 반복적 위협"
"트럼프, 동맹 거래 또는 불필요한 부담 여겨...민주주의·인권보다 달러 중시"
|
트럼프 전 대통령이 2024년 미국 대선에서 공화당 후보로 출마할 가능성이 있어 주한미군의 완전 철수 위협은 여전히 남아있다.
마크 에스퍼 전 미국 국방부 장관은 10일(현지시간) 회고록 ‘성스러운 맹세’(A Sacred Oath)와 워싱턴포스트(WP)와의 인터뷰에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아시아에서 미국의 주요 동맹국인 한국을 자주 폄하하고, 주한미군 2만85000명을 모두 철수시키라고 반복적으로 위협했다고 밝혔다.
에스퍼는 트럼프 행정부 때인 2017년 11월부터 육군장관을 지내다 2019년 7월부터 2020년 11월까지 국방장관을 지냈다.
|
에스퍼와 다른 고위관리들은 트럼프의 철수 명령을 단념시키거나 지연시키려고 노력했고, 트럼프는 명령을 내리지 않았지만 그 생각을 포기하지 않았다.
한번은 마이크 폼페이오 당시 국무장관이 “주한미군 철수는 두 번째 임기 우선순위로 하시죠”라고 하자 트럼프는 미소를 지으면서 “그렇지, 맞아, 두 번째 임기”라고 말했다고 에스퍼 전 장관은 밝혔다.
트럼프는 “한국인들이 상대하기 끔찍하다”며 “미국에 바가지를 씌우고 있다”고 했고, “그들(한국)은 우리에게 삼성 TV를 파는데, 우리는 그들을 보호해준다. 이는 맞지 않는다”고도 했다.
에스퍼는 자신의 장관 재직 15개월간 트럼프가 여러 번 주한미군 완전 철수를 언급했다면서 대북 억지력 상실 등 재앙적인 결과가 될 뿐만 아니라 아시아에서 미군을 몰아내려 한 중국이 환영할 만한 일일 것이라고 설득했다고 WP에 말했다.
|
트럼프는 재임 시절 한국뿐만 아니라 다른 동맹국도 안보 문제에서 미국에 ‘무임승차’한다면서 아프리카 주둔 미군 철수 희망을 피력했고, 실제 2020년 6월 독일 주둔 미군 중 9500명을 3개월 이내에 철수하라고 명령했다.
트럼프는 자신의 결정이 전략적으로 무엇을 의미하는지 이해하지 못했거나 관심조차 두지 않았고, 동맹을 기껏 거래적이거나 최악의 경우 불필요한 부담으로 여겼으며 민주주의와 인권보다 달러와 센트를 더 중요하게 생각했다고 에스퍼는 지적했다.
에스퍼는 자신의 재임 중에는 주한미군 철수가 벌어지지 않도록 하겠다는 의지가 있었다면서 자신이 장관직을 지킨 이유 중 하나는 퇴임할 경우 후임 국방장관이 주한미군 철수 명령을 따르며 실제 철수를 시작할지도 모른다는 우려 때문이었다고 WP에 밝혔다.
에스퍼는 2020년 3월 국무부 주도로 한국의 방위비 분담금을 13% 증액한 협상 잠정 타결안을 백악관에 보고했지만 트럼프가 11시간 만에 거부했다고 밝혔다.
트럼프는 400% 인상을 주장했고 에스퍼는 50% 증액으로 시작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했지만 13%는 합리적 해법을 찾으려는 폼페이오 전 장관이나 자신이 보기에도 어려운 일이었다고 평가했다.
|
또 에스퍼는 트럼프가 북미 간 일촉즉발의 시기였던 2018년 1월 주한미군 가족들에 대한 소개령(대피령)을 내리려다 결국 접었다고 밝혔다.
에스퍼는 육군장관 시절인 2018년 1월 앨라배마주 헌츠빌의 한 병참기지를 찾았을 때 국방부로부터 트럼프가 그날 오후 모든 미군 가족에게 한국을 즉시 떠나라는 명령을 공개적으로 발표할 예정이라는 긴급 전화를 받았다.
이에 그는 “김정은이 하와이에 미사일을 쐈나. 북한 기갑부대가 비무장지대(DMZ)로 이동 중인가. 미군 함정을 침몰시켰나. 미국에 탄도미사일을 쐈나. 뭐지?”라고 생각했다.
에스퍼는 7000명의 미군 가족과 1만1000명의 다른 비전투요원을 모두 대피시키는 것은 어려운 임무라며 2주 전 한국 미군 부대를 방문했을 때 사령관으로부터 받은 전쟁 준비 관련 브리핑에 19만명에 육박하는 한국 거주 미국인 대피 계획이 포함돼 있었다고 전했다.
그는 “가장 중요한 것은 (대피 명령을) 북한이 어떻게 생각할까였다. 김정은은 아마도 미국의 철수를 공격의 전주로 볼 것이었고, 트럼프 대통령이 대피를 발표한다면 우린 전쟁을 준비할 필요가 있었다”고 말했다.
북한이 선제공격하는 사태가 벌어지지 않는다고 해도 대피 명령은 그 지역에 패닉을 일으키고 한국 시장을 폭락하게 할 가능성이 있다고 에스퍼는 봤다.
에스퍼가 백악관의 추가 지침을 기다리는 동안 트럼프는 마음을 바꿨다. 에스퍼는 “난 명확한 설명을 못 들었지만, 분명히 누군가 대통령이 트윗을 보내지 않도록 설득했다. 위기와 전쟁을 피한 것”이라며 “하지만 나는 당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었는지, 이렇게 중요한 문제를 놓고 왜 왔다 갔다 하는 결정이 있었는지 말문이 막혔다”고 말했다.
CNN방송과 ‘워터게이트’ 특종기자인 밥 우드워드 미국 워싱턴포스트(WP) 부편집인은 2018년 출간한 ‘공포: 백악관의 트럼프’에 따
르면 트럼프는 2018년 2월 평창 동계올림픽 개최 몇 주 전 허버트 맥매스터 당시 국가안보회의(NSC) 보좌관에게 8000여명에 달하는 주한미군 가족의 대피 준비를 명령했지만 제임스 매티스 당시 국방장관·존 켈리 백악관 비서실장이 논의 끝에 ‘주한미군 가족 동반 금지’라는 타협안으로 축소됐다가 결국 흐지부지됐다.
트럼프의 측근이었던 린지 그레이엄 공화당 상원의원도 골프를 치면서 트럼프에게 “대통령이 전쟁할 준비가 돼 있지 않다면 이 과정(트윗 명령)을 아예 시작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고 ‘공포’는 전했다.
에스퍼는 WP 인터뷰에서 트럼프는 군(軍) 최고사령관이 되기에 적합하지 않다고 비판했다. 선출된 모든 지도자, 특히 미국의 대통령은 자신보다 나라를 우선시하는 기본 자질을 체화하고 원칙과 진실성이 있어야 하는데 “트럼프 대통령은 그런 면에서 적합하지 않다”고 에스퍼는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