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외국인 환자 잡아라”…요르단, 의료관광 메카 노린다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biz.asiatoday.co.kr/kn/view.php?key=20190121010012454

글자크기

닫기

최서윤 기자

승인 : 2019. 01. 21. 16:24

비자발급 간소화·체류기간 연장
테러 위험 적고 정치적으로 안정
난민 우호정책도 이용 증가 한몫
의료관광 산업 성장 잠재력 높아
"동아프리카·중앙亞까지 공략을"
GettyImages-1035632110
요르단이 의료 관광업을 국가 경제의 핵심 동력으로 삼겠다고 나섰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요르단이 의료관광업의 메카를 꿈꾸고 있다. 비자 발급 절차를 간소화하고 체류 기간을 늘리는 등 외국인 환자 유치에 팔을 걷고 나선 것. 요르단은 걸프 국가 사이에선 안전한 곳으로 인식돼 있어 의료관광업의 성장 잠재력이 높다.

압둘라 요르단 국왕은 20일(현지시간) 왕실에서 의료관광업 활성화 회의를 열고 국가 경제의 핵심 동력인 의료관광업 발전을 위해 외국인 환자를 더 늘리는 데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며 공공과 민간의 공동 노력을 강조했다고 요르단타임스가 이날 보도했다. 압둘라 국왕은 “요르단 의료관광업은 국제적 경쟁력을 갖췄다”며 “이해 관계자들 간 조정을 통해 양질의 수준 높은 의료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외국인 환자 유치를 위해 민간 부문에서 혁신적인 해결책이 나와야 한다”며 “공공 부문은 이를 뒷받침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요르단 의료관광업이 각광받는 이유는 중동 지역에서 테러 위험으로부터 안전한 국가인데다 정치적으로도 안정돼 있기 때문. 난민 우호 정책도 의료시설 이용률을 높였다. 요르단에는 2016년 기준으로 요르단 국적자 660만명과 거주자 290만명이 있는데, 거주자 중 44%가 시리아 난민이다. 

ㄴㄴㄴㄴ
국제보건연구센터(IHRC)에 따르면 요르단은 의료관광 환경·의료관광업 활성화 정도·의료시설 및 서비스 수준을 기준으로 분석한 의료관광 순위에서 중동 12개국 가운데 6위(2015년 기준)를 차지했다. 이스라엘이 1위, 아랍에미리트(UAE)의 두바이와 아부다비가 각각 2·3위다. 이어 이집트·카타르 순이다. 앞서 세계은행은 2008년 의료관광업 순위에서 요르단을 아랍 지역 1위, 세계 5위로 꼽기도 했다. 요르단 개인병원협회(PHA) 회장인 파지 하모우리는 “외국인 환자수가 2004년부터 매해 10%씩 꾸준히 늘고 있다”며 “요르단은 중동국가 가운데 유일하게 의료비용 지출보다 수입이 많은 국가”라고 말했다. 

요르단 국내총생산(GDP) 대비 의료관광업 비중은 3.5%로 10억 달러(약 1조원)를 훌쩍 넘는다. 외국인 환자들의 국적은 사우디아라비아를 비롯해 시리아·예멘·이라크 등 걸프 국가다. 외국인 환자들이 주로 찾는 전문 분야는 심혈관 질환과 뼈·관절·척추 질환 등이다.

물론 요르단 의료관광업에 흑역사도 있었다. 2016년 무비자로 입국할 수 있는 국가 수를 줄이거나 비자 발급 조건을 강화하기 시작했던 것. 비자 제한 조치 대상국가는 리비아·예멘·이라크·시리아·수단 등으로 최근 몇 년간 심각한 정치적 불안정을 겪고 있다는 것이 이유였다. 이 때문에 2015년 25만명이던 외국인 환자는 2016년과 2017년 각각 16만~17만명으로 감소했다. 

요르단 정부는 ‘2018~2022 경제성장 계획’ 보고서에서 제도적 결함 탓에 의료관광업 성장이 저해됐음을 인정, 2018년부터 다시 의료관광 비자 발급 절차를 간소화하고 있다. 나이지리아 등 의료 목적 비자가 제한됐던 아프리카 국가들에 대해서도 발급을 허용했다. 미국·캐나다·호주·일본·스위스 국적자들은 무비자로 입국할 수 있다. 요르단 정부는 체류 기간 연장도 검토중이다. 

새로운 시장을 개척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국제 의료관광 전문가인 압둘라 힌다이는 “동아프리카의 성장 잠재력이 커 의료관광 수요 역시 크다”며 “직항 노선이 확보된다면 카자흐스탄·키르기스스탄·우즈베키스탄 등 중앙아시아 국가도 공략할 만하다”고 분석했다. 

최서윤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

댓글 작성하기